교육부, 대학창업 5개년 계획
"교수·학생 창업기업 4배로 확대"
[ 구은서 기자 ] 논문 대신 창업활동 결과물로 석사 학위를 딸 수 있도록 교육부가 대학원 학사제도 개선을 추진한다. 대학가를 창업 친화적으로 만들어 교수, 학생이 창업한 기업을 현재의 4배로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교육부는 25일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2차 대학 창업교육 5개년 계획(2018~2022)’을 발표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1805/2018052538631_AA.16807894.1.jpg)
교육부는 대학원생이 논문 대신 창업활동 결과물로 졸업 요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개선할 방침이다. 창업 휴학제나 대체학점 인정제 등을 도입해 대학원생이 쉽게 창업할 수 있게 유도한다는 구상이다.
기존에 학부 중심으로 이뤄지던 창업 교육을 대학원으로 확대하고 교원 창업 문화를 조성해 2016년 1191개인 학생 창업 기업을 2022년까지 5000개로, 195개인 교원 창업 기업은 750개로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이 같은 계획을 위해 KAIST가 지난해 도입한 ‘K스쿨’을 참조했다는 게 교육부의 설명이다. K스쿨에 진학하면 논문을 안 쓰고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인턴십 등 창업에 특화한 교육과정만 이수해도 ‘창업석사 학위’를 받을 수 있다.
K스쿨은 미국 스탠퍼드대 공학부가 운영 중인 창업 맞춤형 특화교육과정 ‘D스쿨’을 벤치마킹한 과정이다. 다만 D스쿨은 학점과 학위가 따로 없는 비학위 과정으로, 스탠퍼드대학원 소속 학생이면 누구나 강의를 들을 수 있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8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