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는 이런 근거로 경기 동행 및 선행지수 순환변동치가 지난해 하반기 이후 계속 떨어지고 있다는 점을 들었다. 또 설비투자와 건설수주가 급감하고 있는 데다 재고는 늘고 고용은 악화되고 있는 점도 지적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투자 절벽에 따른 성장 및 고용 창출력 고갈 △가계부채 증가와 소득정체 △산업경기의 양극화 △유가 상승 △분배 정책에 따른 경기안정화 기능 미흡 등을 하방 리스크로 꼽았다. 그는 “하방 리스크의 상당수가 현실화할 경우 보기 드문 급격한 불황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의 이 같은 경기 진단은 청와대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는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주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거시 지표를 보면 국내 경제가 좋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통계나 경제지표는 워낙 종류가 다양해 어떤 것을 기준으로 하느냐에 따라 결론은 달라질 수 있다. 같은 지표라도 해석 방법에 따라 상반된 결론에 이르기도 한다. 소득주도 성장 효과나 경기 판단을 둘러싸고 논란이 벌어지고 있는 것도 그래서일 것이다.
중요한 것은 정책 대응이다. 경기 상황은 늘 가변적인 만큼 정책 당국은 최악의 상황까지 가정하고 대응책을 준비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보수적 경기 판단이 요구된다는 얘기다. 그런 점에서 청와대와 정부는 경기 논쟁에 방어적으로만 임하기보다는 곳곳에서 울리는 경고음에 귀를 열 필요가 있다. 최근 발표된 10대 경제지표 중 9개가 악화된 점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정치적인 이유 때문에, 혹은 ‘정책 실패’가 두려워 보고 싶은 것만 보다가는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아야 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