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구글은 자사의 인공지능 도구인 ‘크라우드ML’을 활용해 스페인 동부 해안의 렙솔 타라고나 정유공장을 운영하기로 했다. 빅데이터와 AI가 원유 채굴 작업에 이어 정유공장 운영에도 사용되게 됐다.
이 정유공장은 하루 12만 배럴의 원유를 정제하고 있으며 압력이나 유량, 온도, 처리 속도 차이에 따라 수백 가지의 석유 제품을 생산한다. 이 같은 작업에 쓰이는 수백 개 변수를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해 최적의 제품을 생산한다는 구상이다. 렙솔은 구글의 AI기술을 활용하면 배럴당 30센트 이익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렙솔의 모든 정유공장에서 이 기술을 사용하면 연간 1억달러의 추가 매출을 올릴 수 있다고 밝혔다.
마리아 빅토리아 징고니 렙솔 전무는 “정유공장에서 30개의 각종 데이터 변수만 사용하고 있지만 앞으로 400가지의 데이터들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셰일오일과 셰일가스 시추과정에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하면 생산성은 두 배 이상 높이고 개발비용은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오춘호 선임기자 ohchoo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