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투표 4년 전보다 8.65%P ↑
유권자 40% 투표 안해
혈세 4200억원 날린 셈
[ 박재원 기자 ]
이번 지방선거 투표율이 2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은 2014년보다 높아진 사전투표율 효과가 컸다. 전체 유권자 4290만7715명 가운데 20.14%인 864만897명이 사전투표소를 찾았다. 투표율이 50%를 밑돌던 2000년대 초반과는 선거 분위기가 확연히 달라졌다는 평가다.
13일 오전 6시 전국 1만4134개 투표소에서 치러진 6·13 지방선거는 출발이 부진했다. 투표 시작 1시간 만인 오전 7시 투표율은 2.2%(92만 명)에 불과했다. 과거 지방선거를 살펴보면 오전 7시 투표율은 보통 3% 수준을 기록했다. 4년 전인 제6회 지방선거 때는 2.7%였다. 하지만 이날 오후 1시 투표율은 2014년(38.8%)을 훌쩍 넘은 43.5%로 집계됐다. 지난해 제19대 대통령선거 기록(55.5%)을 넘어서진 못했지만, 오후 1시 기준 역대 지방선거 중 최고 투표율을 보였다. 투표 마감을 3시간 앞둔 오후 3시 기준 50% 선을 넘어섰다. 총선거인 수 4290만7715명 중 2151만8219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투표가 마감된 오후 6시 최종 투표율은 60.2%였다. 제1회 지방선거(68.4%) 이후 역대 두 번째로 ‘60% 벽’을 넘어섰다.
1995년 첫 전국동시지방선거가 국민들의 호기심이 반영된 결과였다는 점과 과거 지방선거에 대한 유권자들의 무관심을 감안하면 의미있는 수치라는 분석이다.
높아진 투표율은 지난 8~9일 치러진 사전투표의 영향이 컸다. 사전투표율은 4년 전보다 8.65%포인트 상승했다. 문재인 대통령도 부인 김정숙 여사,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 등과 함께 8일 사전투표에 나섰다. 투표 독려를 위해서였다. 문 대통령은 선거를 앞두고 “투표를 해야 국민이 대접받고 정치가 국민을 두려워한다”며 투표를 당부하기도 했다.
특히 자신의 거주 지역뿐 아니라 전국 어디서든 가능한 사전투표는 젊은 층을 투표장으로 이끌었다. 2014년 처음 시행된 사전투표에선 당시 전체 사전투표자 가운데 40.34%(191만3898명)가 2030세대였다. 이정희 한국외국어대 정치학과 교수는 “빠르게 자신의 의사를 표시하고 싶어 하는 젊은 층의 심리와 전국 어디서든 투표가 가능한 사전투표 시스템이 높은 투표율을 이끌었다”고 분석했다.
달라진 선거 분위기에도 약 40%의 유권자가 투표장에 가지 않으면서 4200억원의 세금이 올해도 버려졌다. 선관위에 따르면 이번 6·13 지방선거에 투입한 세금은 1조700억원이다. 올해 경기 김포시 예산(1조352억원)과 비슷한 금액이다.
박재원 기자 wonderful@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