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플렉시블 OLED 기술 독보적
中, 양산 엄두도 못 내
[ 노경목/이현진/고재연 기자 ]

22일 전자업계에 따르면 수원지방검찰청 형사1부는 플렉시블 OLED 기술 유출을 시도한 중국인 2명을 ‘산업기술의 유출방지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 등의 혐의로 조사하고 있다. 이들이 빼돌리려 한 기술의 가치는 수천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두 사람은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등 한국 디스플레이업체의 1차 협력사에 위장 취업해 관련 기술을 파악한 뒤 중국 업체에 넘기려 한 것으로 알려졌다.

OLED(유기발광다이오드)는 메모리반도체와 함께 대표적인 수출 효자 상품이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디스플레이 수출 규모는 273억8000만달러로, 이 중 34%인 92억2200만달러가 OLED에서 나왔다. OLED를 사용하는 스마트폰과 TV가 늘어나면서 2011년 14%였던 비중이 두 배 이상 뛰었다. 지난해 삼성디스플레이가 사상 최대인 5조400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한 것도 OLED 덕분이다.
LCD(액정표시장치) 생산에서 한국을 압도하고 있는 중국은 OLED 투자에도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지난해 플렉시블 OLED 양산에 나선 BOE를 비롯해 텐마와 CSOT 등이 수조원을 투자해 생산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중국 업체들은 휘어지지 않는 리지드(rigid) OLED를 생산하는 데 그치고 있을 뿐 부가가치가 높은 플렉시블 OLED 양산은 엄두도 못 내고 있다.
권성률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중국 업체들은 아직 대형 스마트폰 업체에 제품을 공급하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한국 기술을 탐낼 수밖에 없는 이유다.
지난해 1월에는 국가 핵심 기술로 지정된 대형 OLED 증착 기술을 중국 회사로 유출하려 한 디스플레이 제조업체 A사 연구원 정모씨와 이모씨 등 두 명이 경찰에 붙잡혔다.
좀처럼 격차를 좁히지 못하면서 중국 정부 차원의 한국 OLED 견제도 시작되고 있다. 6개월째 허가가 나오지 않고 있는 LG디스플레이의 광저우 OLED 공장 건설이 단적인 예다. BOE 등 중국 업체들은 LG디스플레이 OLED의 중국 TV 패널시장 잠식을 우려하며 허가를 최대한 미뤄줄 것을 중국 정부에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정부는 한때 “중국에 OLED 생산 기술을 이전하라”는 무리한 요구까지 했다.
노경목/이현진/고재연 기자 autonomy@hankyung.com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8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이슈톡톡] 40억 주식 잭팟 성공 남성?? 알고보니 개인파산 개그맨 A씨?
최저금리로 갈아탈 수 있는 마지막 버스, 신용·미수·예담 대환하고 취급수수료 할인 받자!
2분기 이끌 新대장주 BEST 5 억대계좌 이종목에서 또 터진다! >> [바로확인]
▶ 터졌다! 매집주130%수익은 시작일뿐 연일上한가! 종목 또적중! 500%황제주 선취매 타임 전격 大공개!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