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변호사의 5% 불과한데
법조 요직 잇따라 중용
검찰개혁 주도 위원회도
대부분 '민변 라인' 일색
인권위 등 법조 외곽도 장악
법조계 "정치세력화하나" 비판
[ 신연수 기자 ] 문재인 정부 들어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민변)의 질주가 가속화 중이다. 법무부 법제처 등 주요 부처의 요직을 꿰찬 것은 물론 법조 관련 각종 위원회와 외곽단체장에 속속 민변 출신이 임명되고 있다. 전체 변호사의 5%도 안 되는 민변으로의 ‘과도한 쏠림’이 사법 안정을 훼손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만만찮다.
◆법무부 요직 민변 출신이 싹쓸이
24일 조상희 건국대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교수(사법연수원 17기)가 50여 일째 공석으로 있던 법무부 산하 재단법인 대한법률구조공단 이사장에 낙점됐다. 3년 임기의 이사장에 선임된 조 교수는 민변 소속으로 교육문화위원회 위원장 등을 지낸 핵심 멤버다.
박근혜 정부 때 임명된 이헌 전 이사장(16기)은 시민단체 등에서 ‘적폐 공공기관장’으로 지목되며 지난 4월 말 중도 낙마했다. 이후 후임 인사가 관심을 모았지만 일각의 풍문대로 민변 출신으로 채워졌다. 민변 아니면 문재인 정부에 자리가 없다는 일설이 다시 한번 입증된 셈이다. 이 전 이사장은 자유주의 계열 변호사 모임인 시민과함께하는변호사들(시변) 출신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1806/2018062490391_AA.17068404.1.jpg)
소위 ‘진보 편향적’인 민변의 약진은 문재인 정부 출범 당시 김외숙 법제처장(21기) 임명에서부터 전조가 나타났다. 민변 출신인 김 처장은 4월 대통령 경호처가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 부인 이희호 여사의 경호를 계속할 수 있다는 유권 해석을 내려 ‘코드 해석’ 논란을 불렀다.
◆외곽기구도 민변 일색… 정치세력화 우려
법조계 외곽단체에도 민변의 약진이 두드러진다. 각종 개혁 위원회가 민변 일색으로 채워졌다. 작년 말 발족한 검찰과거사위원회는 위원 9명 중 6명이 민변이다. 위원장 김갑배 변호사(17기)를 비롯해 김용민(35기)·송상교(34기)·임선숙 변호사(28기), 정한중 한국외국어대 로스쿨 교수(24기) 등이 민변에서 활동했다. 지난해 9월 출범한 대검찰청 산하 검찰개혁위원회 위원장인 송두환 전 헌법재판관(12기) 역시 민변 회장을 역임했다.
민변 출신 첫 대법관 탄생도 유력하다. 민변 회장을 지낸 김선수 변호사(17기)가 대법관 후보 1순위로 거론된다. 한편 작년 9월 임명된 조영선 국가인권위원회 사무총장(31기)은 민변 사무총장 출신이다.
이 같은 ‘민변 전성시대’의 개막은 민변 출신 문 대통령의 지지가 주요 배경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30주년을 맞은 민변 창립행사에 축전을 보내 “헌신과 열정으로 민주주의의 버팀목이 돼줬다”며 신뢰를 나타냈다.
하지만 법조계에서는 ‘민변의 질주’에 대한 우려가 만만찮다. 민변 소속 변호사는 1180명으로 전체 변호사 2만4851명(5월말 기준)의 5% 미만이다. 소수의 요직 싹쓸이가 결국 ‘기울어진 사법부’를 가속화할 것이란 지적이다. 내부 사정에 밝은 한 변호사는 “민변 출신 사이에선 각자 한자리할 수 있다는 기대가 넘친다”며 “변호사 활동보다 정치 세력화에 집중하는 모습”이라고 비판했다.
신연수 기자 sys@hankyung.com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8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이슈톡톡] 40억 주식 잭팟 성공 남성?? 알고보니 개인파산 개그맨 A씨?
최저금리로 갈아탈 수 있는 마지막 버스, 신용·미수·예담 대환하고 취급수수료 할인 받자!
2분기 이끌 新대장주 BEST 5 억대계좌 이종목에서 또 터진다! >> [바로확인]
▶ 터졌다! 매집주130%수익은 시작일뿐 연일上한가! 종목 또적중! 500%황제주 선취매 타임 전격 大공개!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