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전 장관은 이날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13회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에서 ‘정상회담 이후: 북한의 변화와 연속성’ 세션 발표자로 참석해 북한 비핵화 과정에서 한국 정부가 어느정도 비율로 지원해야될지를 묻는 질문에 “한·중·일이 북한을 경제적으로 ‘지원’한다는 단어 자체가 마음에 걸린다”며 “외국의 자본과 기술이 북한에 투자 됐을 때 북한은 우수한 노동력, 지하자원, 관광자원을 고려하면 아주 좋은 조건”이라고 답했다. 이어 “미국이 해줄 수 있는건 누가 어떻게 북한을 지원해줄지가 아니라 제재를 풀고 수교다. 그렇게 되면 북한에는 자본이 들어갈 수 밖에 없다”며 “북한이 이제 경제를 개방하려고 하고 있기 때문에 비용 부담을 얘기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 전 장관은 또 “북한이 경제를 개방해 주변국과 경제적 유기적 협력체를 완성하면 도발할 수 없고, 핵을 갖고 있더라도 쓸 수가 없다”고 덧붙였다.
이 전 장관은 ”북한의 현재 비핵화 노력은 전술적 변화가 아니라 전략적 변화라고 본다”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대북 제재와 압박 때문에 대화의 장으로 나왔다고 생각했는데, 김정은은 체제 안전 보장을 위해 핵무기를 만들었던 선대 지도자들과 달리 미국이 체제 안전을 보장해주면 핵무기를 포기하고 중국 베트남보다 고도 경제성장을 하겠다는게 목표라는 걸 우리에게 보여주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북한은 단순히 비핵화로 끝나는게 아니라 세계와 소통하는 정상적 국가를 만들 것이고, 북한의 현재 대외정책을 대내적 고도경제성장을 위해 결국 비핵화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제주= 김채연 기자 why29@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