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형규 기자 ]
미국이 이란 제재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미 재무부는 27일(현지시간) 이란산 원유는 물론 민간 항공기 부품, 양탄자, 피스타치오, 캐비어 등 각종 물품 거래를 금지하기로 하고 거래 시한까지 못박았다. 신용장, 중개 서비스 등 이란 금융회사와의 거래도 모두 차단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이란산 원유 거래는 오는 11월4일까지, 나머지 무역 거래와 금융 거래는 8월6일까지만 허용한다고 밝혔다. 이 기간 이후 이란과 거래하다 적발되면 미국 제재 관련 법에 따라 처벌된다.
니키 헤일리 유엔주재 미국 대사는 이날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에게 “인도가 이란산 원유를 끊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란산 원유 수입 금지를 요청하기도 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전임 행정부가 맺은 ‘이란 핵협정’을 지난달 파기하면서 이란 제재를 재개하기로 한 데 따른 조치다. 미 정부는 미국 기업뿐 아니라 이란과 거래하는 다른 나라 기업까지 제재(세컨더리 보이콧)할 방침이다.
하지만 이란산 원유 주요 수입국인 중국과 인도는 미국의 제재 조치에 반발하고 있다. 중국 외교부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중국과 이란은 우호국가로 경제 무역 등에서 정상적인 왕래와 협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은 2012년 미국이 핵개발 의혹을 제기하며 처음 이란 제재를 시작했을 때도 이란산 원유를 수입했다. 중국은 이란산 원유의 최대 구매자다.
선제이 수디르 인도 석유부 국제협력국장도 CNN머니와의 인터뷰에서 “인도는 유엔에 의한 제재만 인정할 뿐 일방적인 (미국의) 제재는 인정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인도에 이란은 세 번째로 큰 원유 공급원이다. 중국과 인도가 이란산 원유를 계속 수입하면 제재의 실효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란산 원유 주요 수입국인 한국과 일본 정부는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지난해 한국이 이란에서 들여온 원유는 1억4787만 배럴로 전체 원유 수입량의 13.2%였다.
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