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실업률이 10%를 넘었다고 한다. 취업준비생(취준생)들이 느끼는 체감 실업률은 이보다 훨씬 높다. 반면 많은 중소·중견기업은 여전히 구인난을 호소한다. 필자가 만나본 기업 관계자 중 대부분이 대졸 신입사원들의 업무능력에 불만을 토로한다. 현장과 괴리된 교육현장 때문에 재교육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투입되고 있다고 했다. 최근 대졸 신입사원들의 퇴사율이 갈수록 높아지는 주요 원인은 ‘조직 및 직무적응 실패’라고도 했다. 이런 ‘직무 미스매치’는 조기 퇴사로 인한 추가 비용과 국가적 손실로 이어진다.
현장실습은 청년 취업률을 높이고 직무 미스매치를 줄일 수 있는 좋은 방법 중 하나다. 대학생들은 전공과 관련된 기업과 기관에서 현장 경험을 통해 직무능력을 향상시키고 졸업 후 취업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업들도 직무에 필요한 인재를 바로 채용해 재교육 비용을 줄일 수 있다.
필자가 재직 중인 대학의 한 학생(분자생명과학부)은 최근 현장실습을 통해 일자리를 찾았다. 이 학생은 재학 중 6개월간 한 중견기업에서 장기 현장실습을 한 뒤 해당 기업에 취업했다. 잘 알려지지 않은 기업이었지만 막상 일을 해보니 근무 여건과 적성에 잘 맞았다고 했다. 하지만 국가 전체적으로 봤을 때 이 학생은 예외적인 경우에 속한다.
대학의 정부재정지원사업에 현장실습 성과지표가 설정된 후 참여 학생이 크게 늘긴 했다. 2010년 약 10만 명에서 2016년에는 16만 명 이상으로 증가했다. 그러나 양적 증가에 비해 질적 성장은 미미하다. 대학마다 재정 지원을 받기 위한 ‘실적 채우기’로 운영되면서 대부분 4주 이하 단기 현장실습에 머무르고 있다. 상당수가 민간이 아니라 정부 사업에 의존하고, 대부분 현장실습생들이 고질적인 ‘열정페이’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제도 취지에 맞는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다.
빌 게이츠가 ‘최고의 대학’으로 칭송한 캐나다 워털루대에선 ‘co-op(cooperative education)’ 제도를 통해 학생들이 재학 중 4개월씩 4~6차례 기업에서 현장을 경험한다. ‘co-op’에 참여하는 기업 수는 5200개, 참여 학생의 취업률은 95.6%에 달한다.
현장실습제가 제 역할을 하려면 대학과 기업의 인식 전환이 절실하다. 대학들은 우수한 ‘현장 실습 기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학생들에게는 필요한 사전 교육을 시켜야 한다. 기업들도 열린 자세로 학생들이 본인의 전공과 밀접한 업무를 부여해야 한다. 이를 통해 선순환적인 현장실습문화를 구축하는 것이야말로 산학 연계 인력 양성을 위한 진정한 산학협력이 아닐까.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