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2015년부터 13조7000억원이라는 공적자금을 퍼부어 파산을 면한 회사 구성원들이 누적 부실에 눈감은 채 임금 투쟁을 벌이는 것은 도리에 맞지 않는다. 대우조선은 2020년까지 5조9000억원의 유동성을 마련하는 강도 높은 자구계획안을 이행해야 한다. 지난해까지 자산 매각과 인건비 절감 등으로 2조8000억원을 마련했지만 올해도 1조3000억원을 더 채워야 한다.
회사 측은 그래서 임금인상은커녕 10% 삭감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조선업계에서는 지난해 ‘반짝 흑자’가 3조원에 가까운 신규 자금 투입 덕분인 데다, 매출이 줄고 있는 회사가 경영 정상화에 성공했다는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 대우조선 노조는 산업은행 등 채권단으로부터 공적자금을 받던 당시 “파업 등 쟁의를 않고 자구계획에 동참하겠다”는 서약서를 제출한 바 있다. 이런 약속을 깨고 파업에 나서겠다는 것은 심각한 모럴해저드라는 지적이 나오는 게 당연하다.
일각에서는 이번 파업 움직임을 현 정부와 민주노총 간 대리전으로 보기도 한다. 대우조선 노조는 지난달 민주노총 산별 조직인 금속노조에 가입했다. 정부가 최근 최저임금 산입범위를 확대하고 근로시간 단축 계도기간을 늘리는 등 종전 친노조 일변도 정책에서 일부 궤도를 수정할 움직임을 보이자, 민주노총이 대우조선 노조를 통해 정부 견제에 나섰다는 것이다.
이유와 동기가 무엇이든, 대우조선 노조의 파업투쟁은 용납될 수 없다. 임금 투정을 하며 파업을 강행할 경우 공적자금은 회수하는 것이 마땅하다. 정부와 채권단은 더 이상 노조에 끌려다녀서는 안 된다. 터무니없는 요구에는 그에 합당한 대가를 반드시 치르게 해야 한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