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펀드 조성 후 첫 결실
1686억에 지분 1.5% 확보
日 도요타車도 공동 투자
[ 이동훈/김주완 기자 ]
![](https://img.hankyung.com/photo/201808/2018080257771_AA.17436392.1.jpg)
미래에셋금융그룹과 네이버가 ‘동남아시아의 우버’로 불리는 승차공유업체 그랩에 투자했다. 지난 3월 아시아 유망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에 투자하기 위해 공동으로 펀드를 조성한 지 다섯 달 만에 첫 투자다. 네이버가 승차공유 서비스를 ‘미래 먹거리’로 보고 관련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도요타자동차 등과 공동 투자
미래에셋대우와 네이버는 ‘미래에셋-네이버 아시아그로쓰펀드’를 통해 그랩에 1억5000만달러(약 1686억원)를 투자했다고 2일 발표했다. 그랩의 100% 지분 가치가 110억달러(약 12조원)로 평가받는 것을 감안하면 이번 투자로 미래에셋대우와 네이버는 약 1.5%의 지분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된다.
![](http://img.hankyung.com/photo/201808/2018080257771_AA.17437923.1.jpg)
동남아 1위 O2O 기업이 목표
2012년 말레이시아에서 설립된 그랩은 창업자 앤서니 탄의 철저한 현지화 전략에 힘입어 세계 1위 승차 공유회사인 우버를 몰아내고 동남아 시장 1위에 올랐다. 현재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베트남 등 동남아 8개국 500개 도시에 진출했다. 그랩은 승차공유서비스 외에도 ‘그랩페이’(모바일결제), ‘그랩푸드’(모바일 식품 주문), ‘그랩익스프레스’(모바일 배송) 등으로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동남아 최대의 O2O(온·오프라인 연계 서비스) 모바일 플랫폼 사업자를 꿈꾸고 있다.
![](http://img.hankyung.com/photo/201808/2018080257771_AA.17437924.1.jpg)
네이버 커넥티드카 기술과 시너지
네이버는 지난 5월에도 미래에셋대우와 2800억원을 투자해 중국의 승차공유 1위 기업인 디디추싱 지분 약 0.5%를 사들였다. 네이버는 모두 단순 투자라고 설명하지만 네이버가 개발 중인 커넥티드카(통신망과 연결된 자동차), 자율주행차 기술과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다. 투자은행(IB) 관계자는 “주주가 되면 외부 비공개 자료를 확인할 수 있어 관련 사업을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의 다른 서비스와 협업도 가능하다. 네이버의 자회사인 네이버랩스는 자율주행차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또 자사의 인공지능(AI) 플랫폼인 클로바를 바탕으로 길 찾기, 정보 검색, 음악 재생 등이 가능한 ‘어웨이’라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도 개발했다. 정보기술(IT)업계 관계자는 “우버가 자율주행차 기술을 도입한 것처럼 네이버도 자율주행차, 커넥티드카 서비스 등을 향후 차량공유 서비스에 접목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이동훈/김주완 기자 leedh@hankyung.com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8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최저금리로 갈아탈 수 있는 마지막 버스, 신용·미수·예담 대환하고 취급수수료 할인 받자!
[내일 폭등] 예상종목 지금 공짜로 확인하세요! "신청 즉시 무료발송 Click! >>>"
[급등임박 공개] 2018년 하반기 "정부정책" 수혜주 TOP 10 긴급공개 >>> (바로확인)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