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 개발에만 10년 넘게 걸리는 데다 수조원의 투자가 필요한 게 제약·바이오다. 제약·바이오산업이 발전하려면 이런 특수성에 걸맞은 생태계와 금융·투자환경이 필요하다. 하지만 국내 바이오업계가 처한 환경은 초대형 제약사, 바이오 벤처, 선진적인 금융·투자시스템 등 혁신생태계가 잘 갖춰진 미국 등 선발국들에 비해 열악하기 짝이 없다. 의약품 시장규모, 개발 중인 신약후보물질(파이프라인) 수에서도 미국과는 비교가 안 된다. 금감원이 획일적인 기준을 그대로 적용하면 대다수 바이오 벤처는 적자에 빠지고, 투자 위축으로 이어질 게 뻔하다. 코스닥 상장사 역시 무더기 퇴출 위기로 내몰릴 가능성이 높다.
제약·바이오기업 사업보고서에 기술수출 계약규모, 조건 등을 세부적으로 명시하라는 금감원 가이드라인도 마찬가지다. 글로벌 제약사들이 경쟁자의 시장 진입을 막기 위해 어떤 방해행위를 자행하는지는 긴 설명이 필요없을 듯하다. 영업비밀을 적나라하게 공개하라는 이런 지침은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의 경쟁력만 떨어뜨릴 게 뻔하다.
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등은 그동안 “바이오는 고령화 시대 유망산업”이라며 이를 육성해왔다. 이런 노력이 금감원의 구두지침으로 물거품이 될지 모르는 상황인데 아무 반응이 없는 것도 이해하기 어렵다. 과거 미국·독일이 선발국 영국에 맞서, 또 일본이 선발국 미국에 맞서 각각 독자적으로 산업을 키워온 과정을 돌아보면 바이오기업들에 대한 규제당국의 전략적 고려가 아쉽다. 제약·바이오 선발국이 추격국을 환영할 리 없다. 금감원이 앞장서 바이오산업의 기회를 앗아가는 우(愚)를 범하지 않기 바란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