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제품이 구매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공공수요 창출형 사업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정장훈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은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개최한 ‘제6차 중소?벤처기업혁신성장위원회’에서 ‘신공공시장 창출을 통한 중소·벤처기업 판로 확충방안’에 대한 주제발표에서 이 같이 말했다.
정 연구원은 현행 공공구매제도의 한계로 △R&D(연구개발) 소관 부처와 구매부처의 이분화에 따른 협업구조 미흡 △연구개발과정 연계 공공구매보다 완성품 중심의 구매경향 △기존수요 기반 공공구매 추진경향 △포괄적 인증제도로 인한 기술성에 대한 전문적 평가의 한계 등을 언급했다. 이와 함께 혁신제품의 연구개발이 구매까지 연계되는 것을 목표로 △공공수요 창출형 사업 기획 △성능 중심의 평가 강화 △구매기관에 직접 자금지원 같은 효율적인 재정적 인센티브 제공 △구매계약 관련 제도 개선 △적정가격 기반 계약시스템 활성화 등 한국형 공공구매체계(PPI)를 제안했다. PPI는 기존 혁신 제품 및 서비스 중 공공기관에서 필요한 규격을 달성할 수 있는 제품 및 서비스의 구매를 추진하는 방식이다.
패널토론자인 이태원 한국조달연구원 원장은 중소·벤처기업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공공조달시장이 구축되기 위해 ‘기술개발제품 우선 구매제도’의 혁신이 필요하다고 주장해다. 이 원장은 “기존제품을 일부 개선·개량하는 정도가 아닌 전면 대체하는 수준의 신제품이 기술개발제품으로 인정받아야 한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상시적인 혁신을 위한 프로세스도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동주 중소기업연구원 상생협력연구본부장은 “정부가 일시적인 판로 기회 제공이 아닌 중장기적 관점에서 실질적인 정책을 마련하고 기업은 기술 혁신에만 몰두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성도 갖춘 제품을 개발하는데 힘써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성동 기획재정부 국고국장은 현재 추진 중인 ‘혁신제품 공공구매 확대방안’을 소개하며 “지난해 123조원 규모의 구매력을 가진 정부·공공기관이 혁신제품 판로의 마중물이 돼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 촉진과신산업 성장의 기반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중소·벤처기업혁신성장위원회는 이번 회의에서 나온 내용을 토대로 정부 및 국회에 건의할 예정이며 오는 11월 일자리를 주제로 한 전체회의를 개최할 계획이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8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최저금리로 갈아탈 수 있는 마지막 버스, 신용·미수·예담 대환하고 취급수수료 할인 받자!
[급등임박 공개] 하반기 반등 1순위 종목 선착순 20명, 딱 3일간만 공개! Click! >>>
[내일 폭등] 예상종목 지금 공짜로 확인하세요! "신청즉시 무료발송 CLick! >>>"
[급등임박 공개] 2018년 하반기 "정부정책" 수혜주 TOP 10 긴급공개 >>> (바로확인)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