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대 이유로 가장 많이 등장하는 건 ‘과당경쟁 우려’다. 하지만 과당경쟁 논리가 이미 시장에 진입한 사업자의 입장을 대변한 것이고 보면, 이를 빌미로 규제를 풀지 못한다는 건 잘못된 판단이다. 국내 항공산업의 발전 단계를 고려하면 오히려 정부는 자유롭게 경쟁하도록 허용하면서 시장도 키우고 소비자 후생도 높이는 쪽으로 가는 게 맞을 것이다.
저비용항공사(LLC)만 해도 진입 검토 당시엔 찬반 양론이 많았지만 지금은 매년 사상 최대 실적을 갈아치우고 있다. 미국의 경우 1978년 항공운수업 진입규제를 전면 철폐하면서 항공사 생산성은 두 배 높아졌고 항공권 가격은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우리라고 못 할 이유가 없다.
진입 규제는 항공산업에만 있는 게 아니다. 이동통신에서는 제4사업자 얘기가 수도 없이 나왔지만 그때마다 수포로 돌아갔고, 철도에서는 수서발(發) 고속철도 SR이 코레일에 다시 통합되게 생겼다. 신산업에 대한 진입장벽은 더 높다. 인터넷전문은행 논란에서 보듯이 ‘은산분리’는 진입 규제장벽으로 전락한 지 오래다. 의료계는 원격의료 진입을 방해하고 택시업계는 승차공유 서비스 진입에 저항하고 있다.
진입규제는 경제성장률을 갉아먹고 일자리 기회도 없앤다. 2000년대부터 한국개발연구원(KDI)을 중심으로 정부 지정·허가·면허·인가 등 이른바 ‘강한 형태의 진입규제’를 절반으로 줄이면 잠재성장률이 0.5%포인트 올라갈 것이란 분석이 나왔지만, 정부는 귀담아 듣지 않았다. 재정지출 확대를 통한 성장은 일시적이고 ‘빚의 함정’에 빠질 위험도 크지만, 진입규제 철폐는 경쟁과 혁신을 자극해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유도할 수 있다. 문재인 정부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