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일 정상회담 등을 통해 합의한 내용을 보면 두 나라가 신(新)밀월 시대를 맞았다고 할 만하다.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 갈등으로 2013년 종료된 통화스와프 협정을 체결한 게 대표적이다. 그 규모가 3조엔(약 30조5000억원)으로 2013년 종료 때에 비해 약 10배 커졌다. 양국 경제인 1000여 명이 모여 제3국 인프라 시장 공략에 힘을 합친다는 내용을 담은 50건 이상의 합의서를 만든 것도 주목된다. 동중국해 가스 개발 등 많은 합의 사항이 나왔다. 지난 6년간 영토 문제 등으로 등을 돌렸던 두 나라가 미국 통상 압박에 직면하자 국익을 위한 ‘실리외교’에 나섰다는 분석이 많다.
이런 양국의 움직임은 한·일 관계와 대비된다. 한·일 통화스와프는 2015년 2월 종료된 뒤 협정 재개를 위한 움직임이 없다. 2015년 12월 위안부 합의에 따라 출범한 화해치유재단 존폐 등 과거사 문제를 두고 갈등이 끊이지 않고 있다.
국제관계에서 감정보다 국익이 우선돼야 함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일본은 우리나라와 민주주의와 시장경제 등 가치를 공유하는 나라다. 미국의 통상 압력에 대처하는 데도 협력할 여지가 있을 것이다. 북한 비핵화 과정에서도 양국 협조는 필수적이다. 언제까지 과거사에 갇혀 미래의 공동번영을 발목 잡혀선 안될 것이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