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버금가는 시스템 구축에 주력
"공무원도 선구적 시도하다 실패땐
징계 아니라 민간기업처럼 상 줘야"
[ 백승현 기자 ]
![](https://img.hankyung.com/photo/201811/2018110717251_AA.18200081.1.jpg)
‘삼성전자 최초의 고졸 여성 임원’이란 수식어로 유명한 양향자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장(51·사진)의 말이다. 지난 8월 말 취임한 양 원장은 7일 서울 광화문의 한 식당에서 기자들과 만나 28년간의 삼성전자 근무 경험, 정치권 입문 이후 공공기관 수장이 되기까지의 이야기를 풀어냈다.
전남 화순에서 태어나 광주여상을 졸업하고 1985년 삼성반도체에 ‘연구원 보조’로 입사한 양 원장은 28년 만에 삼성전자 최초의 고졸 여성 임원이 된 입지전적 인물이다. 2016년에는 문재인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학력·지역·성별 차별을 극복한 대명사라며 정치권에 영입하면서 화제가 됐다. 20대 총선에 광주에서 출마해 낙선했으나 이후 민주당 최고위원과 전국여성위원장을 지냈다.
양 원장은 삼성전자에 버금가는 공직사회 인재개발 시스템 구축에 주력하겠다고 했다. 그는 “공무원들이 교육프로그램에 불참하는 사유를 보니 바빠서 못 온다는 것이 많았다”며 “그렇다면 안 바쁜 사람만 교육을 받는다는 건데 그건 말이 안 되는 얘기”라고 말했다. 이어 “교육은 그저 교육에 그치고, 인사는 객관적 자료가 아닌 평판으로 이뤄지는 것은 문제”라며 “삼성리더십파이프라인(SLP) 같은 공직리더십파이프라인(CLP)을 개발해 인재 개발을 시스템화하겠다”고 덧붙였다.
한 번의 실패도 용인하지 않는 공직사회의 문제점도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 원장은 “남들이 시도하지 않는 건전한 시도에도 실패의 책임을 묻고 징계를 하면 발전이 없다”며 “인재개발원부터 ‘퍼스트 펭귄상’을 만들어 공직사회 전반으로 확산하겠다”고 했다. 퍼스트 펭귄이란 불확실하고 위험한 상황에서 가장 먼저 용기를 내 바다에 뛰어들어 무리를 뒤따르게 하는 펭귄을 이르는 말로, 선구자 또는 도전자를 뜻한다.
민간기업 출신으로 공무원과의 소통에 문제가 없느냐는 질문에는 ‘만원’ ‘애정녀’ 등 자신의 별명을 소개하는 것으로 답을 대신했다. ‘만원’은 삼성전자 재직 당시 자신은 직원들에게 ‘만만한 임원’이었다며 “직원들이 찾아오면 만원씩 쥐여줄 생각”이라고 했다. ‘애정녀’는 직원들이 고충을 토로할 때 ‘애매한 것을 결정해주는 여자’라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백승현 기자 argo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