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년 같으면 가득 차야할 창고
허연 폐연탄만 수북이 쌓여
경기 침체에 사회공헌도 위축
연탄 후원 전년비 43% 줄어
[ 임락근,정의진 기자 ] 서울의 마지막 달동네로 불리는 노원구 중계본동 104마을. 이곳에 사는 권모씨(74)는 올겨울이 걱정이다. 겨울을 나는 데 필요한 연탄의 절반도 확보하지 못해서다. 예년 같으면 기업체 등으로부터 후원받은 연탄으로 가득 차 있을 창고에는 허연 폐연탄만 쌓여 있다. 권씨는 “지난해에 비해 연탄 지원이 절반 이상 줄었다”며 “연금이 전부인 20만~25만원의 소득 중 전기, 수도요금 등을 내면 남는 돈이 없는데, 연탄 가격 인상으로 더 힘들어졌다”고 털어놨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1811/2018113018441_AA.18376950.1.jpg)
연탄 후원이 저조한 까닭은 경기부진으로 기업들이 후원을 줄이고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허기복 밥상공동체 연탄은행 대표는 “후원의 95%는 기업으로부터 들어오는데, 지난해까지 후원했던 많은 기업이 올해는 후원을 미루거나 축소하고 있다”며 “후원을 미루는 20여 개 기업에 직접 물어보니 하나같이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한 비용 증가, 하락 국면인 경제상황 때문에 사회공헌사업을 줄일 수밖에 없다고 한다”고 말했다.
정부가 연탄 가격을 크게 인상한 것도 저소득층에는 큰 부담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3일 ‘무연탄 및 연탄의 최고판매가격 지정에 관한 고시’를 개정해 올해 연탄의 장당 최고가격을 기존보다 105원(19.6%) 오른 639원으로 결정했다. 2010년 주요 20개국(G20)이 맺은 화석연료 보조금 폐지 협약에 따른 후속조치다.
한 가구가 겨울을 나기 위해 소비하는 연탄은 최소 1000장가량으로 알려져 있다. 연탄 가격이 105원 오르면 10만5000원가량을 추가로 내야 하는 셈이다. 김범중 중앙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국내 노인들은 소득의 80% 이상을 주거, 식생활, 의료비에 지출한다”며 “노인 빈곤율이 대단히 높은 상황에서 연탄 가격 인상은 노인들의 다른 지출을 즉각 위축시켜 삶의 질을 떨어뜨릴 것”이라고 우려했다.
임락근/정의진 기자 rklim@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