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미국 정상이 무역전쟁의 휴전을 합의했다. 미중 무역분쟁으로 미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2023년까지 매년 최대 0.31% 감소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정민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2일 '2019년 미국 경제 전망과 5대 이슈' 보고서에서 국제통화기금(IMF) 보고서를 인용해 ""미중 무역 전쟁 확산으로 미국의 실질 GDP가 2019년부터 2023년까지 매년 0.15∼0.31% 하락할 것"이라고 추정했다.
무역분쟁 장기화가 미국 기업, 소비자에 부담으로 이어져 미국 경기 확장세의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라는 판단이다.
물가 부담도 커질 수 있다.
미국이 지난 7월부터 10% 관세를 적용한 2000억달러 상당의 중국산 제품에는 자동차 부품, 철강, 알루미늄 등 중간재와 자본재가 다수 포함됐다. 컴퓨터 가구 청소기 등 일반 소비재도 23%를 차지하고 있다.
내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올해 전망치(주요 투자은행 평균 2.9%)보다 둔화한 2% 중반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코크 인더스트리즈가 컨설팅사 임팩트에코에 의뢰해 수행된 연구에선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촉발한 무역분쟁으로 인해 내년 미국인 한 사람당 915달러, 가구당 2400달러의 부담이 올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여기에서도 중국과의 무역분쟁이 물가 인상과 임금 하락, 투자수익률 저하 등이 원인이 된다고 봤다.
이번 조사는 미국이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경우, 그리고 모든 수입 자동차 및 부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했을 경우를 가정하고 진행됐다.
전미소비자기술협회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6일 중국에 대한 미국의 관세 정책이 발효된 이후 기술산업은 1년 전과 비교해 중국 수입품에 3억4900만달러를 더 지불해야 했는데 이는 195%, 거의 두 배의 비용 증가를 가져왔다.
한편 지난 1일 정상회담을 마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내년부터 부과키로 했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추가관세를 90일간 유예하기로 합의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