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빅3'가 경쟁하는 동안 中·日, 통합·합병으로 경쟁력 확보
중복투자 사라져 효율 상승…수주 늘어나 일자리도 유지"
재계 순위 단숨에 10위→7위로
공정위 기업결합심사 통과 유력…경쟁국 심사는 '가시밭길' 우려
[ 김보형/박상용 기자 ] 대우조선해양 인수 절차가 끝나면 글로벌 시장 점유율이 21%에 달하는 ‘매머드 조선사’로 떠오를 현대중공업이 제2의 도약을 선언했다. 가삼현·한영석 현대중공업 공동대표(사장)는 1일 “조선업은 현대중공업그룹의 핵심사업”이라며 “핵심사업을 성장·발전시켜 한국 조선업이 한 단계 성장하는 계기로 삼겠다”고 말했다. 현대중공업그룹이 대우조선을 인수하면 재계 순위(자산 기준)가 10위에서 7위로 높아져 조선업 침체를 딛고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인수 시너지 크다”
현대중공업은 대우조선 인수로 투자 효율성이 높아져 더 많은 선박을 수주할 것으로 자신했다. 두 사장은 이날 임직원들에게 배포한 담화문을 통해 “중복 투자가 제거돼 투자 효율성이 높아지고, 절감한 투자 비용을 다른 곳에 투자한다면 기술 경쟁력이 최소 두 배 이상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구매 물량 증가에 따른 후판(조선용 철판) 등 원자재 구매 비용 절감과 선박 사후관리(AS) 등 그룹사와의 시너지 효과도 기대했다.
대우조선을 인수하기로 한 것은 ‘한국 조선업의 세계 1위 수성’을 위해 내린 결단이라고 했다. 두 사장은 “국내 조선 빅3가 경쟁하는 동안 중국과 일본은 통합과 합병을 통해 경쟁력 확보에 집중했다”며 “이제는 우리도 어떤 형태로든 산업 전체 경쟁력 회복과 재도약을 위한 결단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현대중공업 노조가 제기하고 있는 인력 구조조정 문제에 대해서는 “경쟁력 상승에 따른 수주 확대로 일감이 증가해 일자리가 늘어나고 고용도 유지될 것”이라고 했다.
자산총액(2018년 기준)이 56조1000억원으로 재계 순위 10위인 현대중공업그룹이 자산 규모 12조2000억원의 대우조선을 인수하면 GS그룹(65조원)과 한화그룹(61조3000억원)을 제치고 7위까지 올라갈 것으로 전망된다.
기업결합 심사 관문 통과할까
현대중공업이 대우조선 인수에 성공하려면 한국 공정거래위원회와 해외 경쟁당국의 기업결합심사를 거쳐야 한다. 두 회사의 결합이 시장의 경쟁을 제한하는지 따지는 절차다.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의 국내 시장 점유율이 50%를 넘어서기 때문에 일각에선 “독과점 문제가 불거져 결합 불허 결정이 나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현대중공업과 산업은행(대우조선의 최대주주)은 공정위의 기업결합심사를 무난하게 통과할 것으로 보고 있다. 조선업계는 고객인 선주사들이 강력한 시장 지배력을 갖고 있어 공급자인 조선사의 점유율이 높아진다고 해서 시장이 훼손된다고 보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이 하나의 회사로 통합하는 방식이 아니라 중간지주회사인 조선통합법인 아래 별개의 회사로 남는 구조이기 때문에 시장 경쟁을 해치지 않는다는 게 현대중공업과 산은 측의 설명이다.
해외 경쟁당국의 기업결합심사는 ‘넘어야 할 산’이다. 일본과 중국 등 경쟁국이 쉽게 결합 승인을 내주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세계 1, 2위 조선사인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이 결합(시장 점유율 21.2%)하면 3위 업체인 일본 이마바리조선소(6.6%)와의 격차가 3배 이상으로 벌어진다. 일본은 지난해 11월 “한국 정부가 대우조선에 1조2000억엔(약 12조원) 규모의 선박을 발주하는 등 자국 조선사를 지원하고 있다”며 세계무역기구(WTO)에 공식 제소하기도 했다.
여러 국가의 경쟁당국으로부터 결합 허가를 받았는데도, 한 국가에서 ‘퇴짜’를 맞아 합병이 무산된 사례도 있다. 지난해 8월 세계 최대 통신칩 제조사인 미국 퀄컴은 네덜란드 NXP반도체를 440억달러(약 50조원)에 인수하려던 계획을 포기했다. 유럽연합(EU) 등 9개 승인 대상 국가 중 8곳에서 승인을 받았지만 중국 정부가 불허했기 때문이다.
김보형/박상용 기자 kph21c@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