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담대 고정금리 1년새 0.8%p 하락…변동금리와 역전 심화

입력 2019-02-25 08:04  

미국발 금리 인상 가능성 소멸 영향
고정금리 대출 늘고 변동금리 적용하는 신용대출 감소세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가 빠른 속도로 떨어지고 있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KB국민·우리·KEB하나·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5년 혼합형(5년 고정금리 후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단은 1년 만에 0.62∼0.81%p 하락했다.

가장 하락 폭이 큰 곳은 농협은행이다. 이날 기준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는 2.89∼4.23%로, 딱 1년 전인 지난해 2월 26일 3.70∼5.04% 대비 0.81%p 낮아졌다. 지난달 28일 고정금리 상단이 4.15%까지 떨어진 뒤 가산금리를 9bp(1bp=0.01%포인트) 인상해 그나마 1년 전과의 격차가 줄어들었다.

고정금리 상단이 가장 낮은 곳은 우리은행이다. 우리은행의 25일자 고정금리 범위는 3.05∼4.05%로, 4%대에 간신히 발을 걸친 상태다. 지난해 2월 26일(3.76∼4.76%) 대비 0.71%p 떨어졌다.

하단이 가장 낮은 국민은행의 경우 지난해 2월 26일 3.54∼5.04%였던 고정금리가 2.83∼4.33%로 0.71%p 빠졌다. 같은 기간 신한은행의 고정금리는 3.81∼4.92%에서 3.09∼4.20%로 0.72%p 하락했고, 하나은행은 3.669∼4.869%에서 3.050∼4.250%로 0.619%p 내렸다.

은행권 고정형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떨어진 것은 시중금리 하락의 영향이다. 이들 고정금리는 모두 금융채를 기준으로 삼는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금융채 AAA등급 5년물 금리(민평평균 기준)는 지난 22일 기준 2.052%에 머물렀다. 지난해 2월 26일 2.724%에 비하면 크게 낮은 수치다.

지난해는 미국의 금리 인상이 연달아 이어지리라는 관측이 힘을 얻으면서 시중금리가 상승세를 보였다. 하지만 지난달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추가적인 금리 인상 가능성을 지우며 시장 분위기가 달라졌다. 국내 경기 상황이 나쁜 탓에 한국은행이 당장 기준금리를 올릴 가능성도 작다.

은행 고객은 안정적이고 금리도 낮은 고정금리 상품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지난해 6월 예금은행 가계대출(신규취급액 기준) 가운데 고정금리 대출 비중은 지난해 2월 24.3%에서 지난해 12월 35.2%로 10개월 만에 10%p 이상 늘었다.

통상 변동금리를 적용하는 개인신용대출의 5대 시중은행 잔액은 지난해 12월과 올해 1월 두 달 연속 감소했다. 특히 1월 감소 폭은 1조916억원으로, 2017년 12월 이래 가장 컸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