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무기화합물 소재 대체 가능”
![](https://img.hankyung.com/photo/201902/201902269235h_01.19028204.1.jpg)
단국대 천안캠퍼스는 조병기 교수연구팀이 메모리 기억소자 밀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논문을 세계 유명 화학학술지 《앙게반테 케미》에 게재했다고 26일 밝혔다.
조병기 교수는 제작 공정과 단가가 복잡하고 비싼 무기화합물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강유전 유기화합물 소재를 개발했다.
이 소재는 기존 층 구조의 강유전 유기 액정 소재의 단점을 보완하고 더 많은 전기 분극을 만들 수 있도록 원기둥 구조 형태를 띠고 있다. 강유전은 전기장에 의해 극성이 바뀌는 성질을 말한다. 유기화합물 소재로 기존의 무기화합물 소재를 대체하면 낮은 단가로 고용량의 메모리 제작이 가능하다는 게 조 교수의 설명이다.
![](http://img.hankyung.com/photo/201902/201902269235h_01.19028203.1.jpg)
조 교수는 이중 나선 구조의 원기둥 유기 액정 화합물로부터 외부 전기장에 의한 분극의 방향이 바뀔 수 있음을 논문을 통해 증명했다. 같은 면적에 비해 더 많은 분극을 생성시켜 기억소자 밀도가 획기적으로 늘어나 손톱 크기인 1㎠에 1테라바이트(1024GB)급의 메모리 제작이 이론적으로 가능하다.
한국연구재단 지원을 받아 현준원 교수, 구엔만린 연구원, 변재덕 박사 등 단국대 교수와 연구진을 비롯해 신태주 울산과학기술원 교수, 허가현 카이스트 박사가 연구에 참여했다.
조병기 교수는 “원기둥 구조의 액정에 강유전 특성을 디자인하는 것이 어려웠지만 분자 간 결합력의 미세한 제어를 통해 극성을 지닌 원기둥 구조를 구현했다”며 “메모리디스크, 반도체 등 다양한 기억장치에 활용될 수 있고 추가 연구를 통해 소재의 안정성을 검증해 시제품을 제작하겠다”고 말했다.
천안=강태우 기자 ktw@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