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지혜 기자 ]
![](https://img.hankyung.com/photo/201902/2019022890881_AA.19047818.1.jpg)
빈티지 주얼리의 매력은 한마디로 희소성이다. 내로라하는 브랜드들은 반짝이는 고가의 주얼리를 경쟁적으로 선보인다. 하지만 빈티지 주얼리에는 최신 제품에선 찾아볼 수 없는 클래식한 분위기가 느껴진다. 남루하지만 고풍스럽다.
오래된 주얼리에는 스토리도 담겨 있다. “예전엔 어떤 사람이 이 물건을 썼을까?” “어떤 스토리가 있었을까?” 상상하게 된다. 예를 들어 1960년대 미국산 튤립 모양의 햇핀(모자에 꽂는 핀 형태의 브로치)을 살 땐 우아한 숙녀가 레이스로 둘러싼 챙 넓은 모자에 이 핀을 꽂고 다녔을 것만 같은 상상을 했다. 1980년대 영국산 팔찌를 보자마자 이 알록달록한 금장 단추들을 모아 팔찌로 만들 생각을 누가 했을지 떠올려보기도 했다. 1930년대 제작된 아르데코 블랙 코랄 브로치를 봤을 땐 블랙 산호초를 정교하게 다듬어 세공하는 장인의 뒷모습이 눈앞에 그려졌다.
‘득템’(좋은 아이템을 싼 값게 얻었다는 뜻)도 빈티지 주얼리의 매력이다. 새 제품이었을 땐 더 비싼 값을 줘야 했겠지만 시간이 흐르고 낡아 제값보다 훨씬 싸게 살 수 있게 된 제품도 꽤 많다. 브로치 하나에 보통 50만원이 넘는 고가의 디자이너 주얼리 브랜드 엑스타시아의 1990년대 브로치를 16만원대에 사는 식이다. 때론 명품 브랜드 ‘지방시’의 아주 오래된 귀걸이도 3만원에 ‘득템’할 수 있고 2만~3만원대의 ‘나피에르’ ‘모네’ ‘트리파리’ 브랜드 제품도 구입할 수 있었다.
![](http://img.hankyung.com/photo/201902/2019022890881_AA.19049701.1.jpg)
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