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혁신센터가 신청·접수 받아
업체당 최대 1억2000만원 지원
[ 강준완 기자 ]
![](https://img.hankyung.com/photo/201903/2019030489201_AA.19074510.1.jpg)
인천시는 스마트공장을 매년 110~186개씩 늘려 2022년까지 1000개로 확대하기로 했다. 노후화된 남동·주안·부평국가산업단지 등 공장 구조고도화를 지원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서다. 시는 지난해 말까지 512개 스마트공장을 구축했다.
시는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해 주는 제조혁신센터를 지난달 28일 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인천TP)에 설립했다고 4일 발표했다. 센터는 스마트공장 보급 지원사업의 신청·접수부터 선정·협약·최종 점검까지 모든 업무를 수행한다. 제조혁신센터는 지난해 정부 관계부처 합동으로 중소제조기업 전반의 혁신을 이끌기 위해 발표한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의 일환으로 설치됐다. 인천시와 인천TP, 인천중소벤처기업청이 공동으로 운영한다.
![](http://img.hankyung.com/photo/201903/2019030489201_AA.19075927.1.jpg)
시는 중소기업 관계자들이 스마트공장 효과를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시범공장을 만들기로 했다. 사업비 3억원을 들여 대표 중소기업을 선정해 내년 상반기 안에 시범공장을 구축할 계획이다. 내년에는 20억원을 추가로 투입해 제조혁신센터 내 330㎡ 규모 공간에 테스트베드 역할을 하는 공장을 마련하기로 했다. 이곳에 생산관리 시스템, 설계 장비, 납품관리 프로그램 등을 설치해 예비 신청자에게 직접 스마트공장 작동 시스템을 경험하게 할 계획이다. 최용대 시 구조고도화팀장은 “올해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예산으로 국비를 포함해 200억원을 편성했으며, 시의회와 예산부서에 협조를 구해 지원비 추가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스마트공장은 제품의 기획, 설계, 생산, 유통, 판매 등 전 과정을 정보통신기술(ICT)로 통합해 최적의 설비 가동 상태를 유지하는 똑똑한 공장을 말한다. 시 관계자는 “스마트공장을 차질 없이 구축해 중소기업들이 4차 산업혁명에 선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인천=강준완 기자 jeffka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