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 공기업이 경영 위기에 빠지게 된 데는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 5년마다 정권이 바뀌면서 나타나는 정책 불확실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는 점이다. 이명박 정부 때 해외자원 개발에 동원됐던 광물공사 대한석유공사 등은 정권이 바뀌면서 감사와 수사 대상으로 내몰린 사례들이다. 한국전력 등 발전 공기업들의 경우 문재인 정부가 ‘에너지 전환’이란 이름 아래 탈(脫)원전 정책을 밀어붙이면서 재무구조가 악화되고 있다. 어느 쪽이건 임기 5년 정권이 전문가들의 충분한 의견 수렴과 국민에 대한 성실한 설명 없이 자원·에너지 정책을 바꾼 결과란 점이 문제의 본질이다.
한국의 ‘정권리스크’는 국제 자원·에너지 시장에서도 잘 알려져 있다. 특정 정권이 해외자원 개발을 추진하면서 목표치를 채우느라 비싸게 사들인 공기업이 정권이 바뀐 뒤에는 정리대상이 돼 헐값으로 팔리는 일이 빚어지고 있다.
이러다 보니 국내 자원·에너지 공기업은 국제 시장에서 ‘봉’이란 말까지 나돈다. 해외원전 수주시장에서 강력한 경쟁자로 부상하던 한국이 탈원전으로 발목이 잡힌 것도 마찬가지다. 자원·에너지는 5년짜리 정권이 그때그때 정치상황이나 이념에 따라 마구 주물러도 되는 분야가 아니다. 해외 자원·에너지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로서는 특히 그렇다. 먼 미래의 수급상황까지 그려가면서 신중에 신중을 기해 중장기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하는 게 마땅하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