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자동차업계는 날로 치열해지는 경쟁 속에서 선제적 구조조정에 골몰하고 있다.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른 데다 자율주행차 전기차 등 미래형 차량의 시장판도에 대해 누구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어서다. 자율주행 기술에서 앞서가는 구글에서 보듯 IT(정보기술)·전자분야 기업들도 자동차업계의 강력한 경쟁 상대다. GM이 지난해 말부터 7개 공장 폐쇄와 1만4000명 감축을 시작한 데 이어 폭스바겐 7000명, 포드 5000명, 재규어랜드로버 4500명, 테슬라 3000명 감원 등으로 ‘구조조정 전쟁’을 벌이고 있다.
국내 자동차산업이 위기에 처했다는 보고서도 잇따라 나오고 있다. 3년 전 ‘생산량 세계 5위’에서 7위로 밀려난 한국 자동차산업은 올해 연 생산규모가 400만 대 아래로 떨어지면서 산업생태계가 흔들릴 것이라는 진단도 나왔다. 심지어 전국금속노조와 산하 현대차지부 등도 “자동차산업 100년 만에 가장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으며, 국내 자동차산업은 다시 한 번 흥망성쇠의 기로에 서 있다”는 위기진단 보고서를 내놨다. 272쪽짜리 이 보고서가 나온 게 지난달이다.
노조는 보고서에 담긴 인식에 걸맞게 행동해야 한다. 자동차산업의 장기 발전과 고용유지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져야 한다. 일단 살아남아야 후일도 있다는 교훈은 먼저 위기를 겪은 쌍용자동차가 보여줬다. 특히 완성차 노조들은 열악한 환경에 처한 부품업계 협력업체들의 고충을 직시해야 한다. 구조조정 시기를 놓쳤다가 위기로 몰린 대우조선해양 등 조선업계의 딱한 사정이 남의 일일 수 없다. ‘생존 자구책’까지 노조 허락을 받아야 한다면 자동차산업의 미래는 없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