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바이오테크놀로지
![](https://img.hankyung.com/photo/201903/2019032231211_AA.19197628.1.jpg)
1) 생명과학과
![](http://img.hankyung.com/photo/201903/2019032231211_01.17595004.1.jpg)
2) 바이오생명정보과
바이오생명정보과는 바이오 소재와 이를 이용한 신제품 개발능력을 향상시키고, 기초학문 분야와 응용과학 분야를 통합한 바이오산업의 정보 관련 분야에서 실무능력을 갖춘 전문인을 양성하는 학과다. 생명공학기기분석학, 동물세포배양 및 실험동물학, 분자세포생물학 및 실험, 바이오정보시스템, 생화학, 미생물학, 바이오프로그래밍 등을 배운다. 관련 학과로는 바이오품질관리과, 바이오정보과, 바이오생명제약과, 바이오생명의약과(공학), 바이오배양공정과 등이 있다. 단백질정제실무자 동물세포배양실무자 바이오데이터분석실무자 생명정보연구원 염기서열분석가 유전자검사실무자 유전자클로닝실무자 등 바이오정보 관련 다양한 직종이 있으며, 의료전자기능사 축산산업기사 등의 자격증을 노려볼 수 있다. 바이오정보 관련 기업체나 벤처기업, 생산이력관리 분야 대형유통업체, 유전자검사업체 등 기업체와 바이오 및 법의학관련 연구소에서 근무할 수 있다. 알파벳(구글의 지주회사),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같은 기술 기업도 전문적인 데이터수집과 분석능력으로 질병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학과의 장래는 밝다. 평소 생명체의 자료를 분석하고 바이오 실험 및 실습 등 실무적인 능력에 관심이 큰 학생은 도전해볼 만하다. 다양한 데이터 분석 방법과 프로그래밍 능력을 갖춘다면 더욱 유리하다.
3) 생명공학과
생명공학과는 생명과학이론을 산업에 적용해 실생활에 응용하는 생명과학응용기술 측면이 강한 학과다. 학문적 측면에서 연구하는 생명과학과, 생명정보분석방법·프로그래밍 관련 실무능력에 초점을 둔 바이오생명정보학과와는 다소 다르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는 생명공학의 응용분야를 다음과 같이 나누며 방대한 영역을 보여준다. ①줄기세포 연구 같은 유전자 치료 등 ‘보건의료 분야’ ②씨앗 유전자를 변화시켜 변형된 작물을 만드는 등 ‘농업 및 식품 분야’ ③미생물 또는 식물을 활용해 폐기물을 분해하거나 동물 또는 작물을 통해 재생가능한 무공해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환경 및 에너지 분야’ ④인간 게놈(Genome·유전체)의 염기서열 정보 등에 관한 연구인 ‘정보생명공학 분야’, ⑤DNA칩, 세포칩 등 바이오칩 및 신약 개발 그리고 바이오멤스(BioMEMS) 등 질병 진단과 예측에 관한 ‘전자 및 기계 분야’이다. 바이오테크놀로지산업 분야의 핵심임을 한눈에 보여준다. 대기환경기사 생물공학기사 수질환경기사 식품기사 폐기물처리기사 등 자격증과 생명과학연구원, 생물공학연구원 그리고 위 세부 분야와 관련된 환경·에너지산업업체, 식음료업체, 제약·생명과학 관련업체 등 기업체의 산업현장, 국가·정부 관련 연구부서에서 새로운 직종이 새롭게 발생하고 있다. 다양한 영역에 걸쳐 융합 공부를 통해 생명 현상의 실생활 용용과 산업화에 관심이 높은 학생에게 생명공학과를 추천한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