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1인당 GDP 6~8배 수준
문 대통령 2억원…20위 못 들어
[ 설지연 기자 ] 세계에서 가장 많은 연봉을 받는 국가수반은 리셴룽(李顯龍) 싱가포르 총리인 것으로 조사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국가 정상들 연봉 순위로는 4위였지만 대통령 선거 공약대로 전액을 기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1904/2019042819731_AA.19525627.1.jpg)
리셴룽 총리는 싱가포르를 26년간 장기 통치했던 ‘싱가포르의 국부’ 리콴유 초대 총리의 장남이다. 2004년부터 14년7개월째 집권을 이어가고 있다. 싱가포르는 공무원들이 부정과 비리에 말려들지 않게 하기 위해 최고의 생활을 누릴 수 있는 연봉을 지급한다고 알려졌다. 싱가포르에선 총리뿐 아니라 공무원들이 고소득자 5% 안에 들 정도로 최고의 연봉과 복지 혜택을 누린다.
연봉 2위 국가 정상은 홍콩의 행정수반인 캐리 람 행정장관이다. 그는 56만8400달러(약 6억6000만원)의 연봉을 받는다. 홍콩 1인당 GDP의 10배 수준이다. 홍콩도 싱가포르처럼 관료들에게 후한 보수를 지급하고 있다.
3위를 차지한 율리 마우러 스위스 대통령은 연 48만3000달러(약 5억6000만원)의 급여를 받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정상 중 1위에 올랐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1인당 GDP의 7배 수준인 40만달러(약 4억6000만원)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연봉을 전액 기부하겠다는 공약을 지키고 있어 한 푼도 수령하지 않았다.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37만8000달러),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37만달러), 저신다 아던 뉴질랜드 총리(34만달러)가 뒤를 이었다. 연 30만달러 이상의 연봉을 받는 국가수반은 총 9명으로 집계됐다. 서방국가 정상들 대부분은 1인당 GDP 대비 6~8배 수준의 연봉을 받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해 2억2500만원(약 19만3800달러, 지난 26일 원·달러 환율 1161원 기준)의 연봉을 받아 20위 안에 들지 못했다. 문 대통령의 연봉은 한국 1인당 GDP(3만2000달러)의 6배 수준이다.
USA투데이는 국제통화기금(IMF)과 각국 정부 웹사이트 등 자료를 바탕으로 집계했으며 사우디아라비아 등 절대 군주제 국가나 관련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 나라는 제외했다고 밝혔다.
설지연 기자 sjy@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