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외교부가 특임대사들의 갑질 논란으로 시끄럽다. 특임대사란 대통령이 특별임무를 맡긴 민(民) 출신 외교관들을 말한다. 2017년 가을엔 일본 삿포로 총영사가 검찰 조사까지 받은 끝에 결국 직위해제 당했다. 비서에 폭언을 했다는 녹음파일이 등장한 게 원인이었다. 지난 6일엔 김도현 주베트남 대사가 본국에 송환됐다. 5월 말에 열릴 중앙징계위원회 소명을 위한 귀국인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는 현재 김 대사를 김영란법 위반, 대사관 직원에 대한 갑질 등의 이유로 인사혁신처에 중징계를 요청한 상태다. 김 대사는 외교관료였다가 퇴사 후 삼성 등 민간에서 활약했던 인물이다.
김 대사에 이어 도경환 주말레이시아 대사도 부하 직원에 대해 폭언 등 갑질 혐의로 인사혁신처에 중징계 요청안이 접수됐다. 도 대사 역시 조만간 귀임 조치될 가능성이 높다. 중앙징계위원회가 매달 마지막 주 금요일에 열리므로 도 대사는 다음달 초쯤 들어올 것으로 예상된다. 도 대사는 대통령실 경제수석실 행정관, 산업통상자원부 통상협력국장·산업기반실장 등을 지내다 지난해 2월 대사에 부임한 특임 공관장이다.
특임대사들의 ‘갑질’은 임명권자인 청와대도 손을 대기 어려운 민감한 사안이라는 게 외교가의 공통된 시각이다. 투서가 접수되고, 녹취 파일이 나오면 빼도 박도 못한다는 것이다. 갑질 문화 근절은 문재인 정부의 상징인 적폐 청산의 핵심 중 하나다. 육군 현역 대장이 공관장 갑질이란 혐의로 영창에 갇혔을 정도다. 결국 그는 약 2년 간의 법정투쟁 끝에 무혐의를 받았지만, 이미 명예는 땅에 떨어진 지 오래다.
잇따른 낙마의 가장 큰 원인은 특임대사 본인에게 귀착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소명과 진상 조사를 해봐야 알겠지만, 투서와 녹취의 원인을 제공한 것만으로도 ‘리더’에겐 큰 결격사유다. 하지만 한 가지 짚어봐야할 것이 있다. 특임대사들이 겪는 고초의 원인을 좀 더 깊숙히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는 얘기다. 외교관료들의 조직적인 저항과도 연관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임대사직은 기존 외교관료의 몫을 뺏는 것이나 다름없다. 4월 말 기준으로 해외 공관은 166곳이다. 이 중 30%를 특임대사 등으로 채워 외부에 개방하겠다는 게 문 정부의 공약이다. ‘인사가 만사’인 외교부 입장에선 곱게 받아들여질 리 없다.
외교관 특유의 조직 문화도 특임대사들이 어려움을 겪는 이유 중 하나라는 얘기도 나온다. 한 타부처 과장은 “공무원들도 간혹 해외 업무를 할 때 외교부 직원들과 협의를 할 일이 있는데 그때마다 우리 외교관들이 얼마나 일을 고압적으로 하는 지 알게 된다”고 꼬집었다. 민(民)의 시선에서 볼 때 외교관들이 통상적으로 해오던 업무 스타일과 관행은 눈에 거슬릴 수 밖에 없다. 베트남의 김 대사를 동정하는 목소리가 현지 기업인들 사이에서 나오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5월, 6월 말에 잇따라 열릴 중앙징계위원회는 여러모로 지켜볼 게 많을 것 같다. 외교관을 고르는 대통령의 선구안이 잘못된 건지, 직업 외교관들의 조직적인 저항 탓인 지 언젠가는 규명이 이뤄질 것이다.
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