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경묵 기자 ]
![](https://img.hankyung.com/photo/201906/2019061221681_AA.19864820.1.jpg)
기존의 수용성 폐수처리 촉매들은 처리에 오랜 시간이 걸리고 처리수에 중금속이 포함돼 포집과 재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심 교수 연구팀은 물에 녹지 않고 자성이 있어 회수가 쉬운 아연철 산화물 나노입자를 초음파를 이용해 그래핀에 부착시키고 나노박편을 성장시키는 방법으로 촉매를 개발했다.
심 교수는 “연구실에서 개발한 은, 아연철산화물, 그래핀 촉매와 함께 사용하면 낮에는 태양광으로, 밤에는 값싼 산화제를 사용해 큰 에너지 공급 없이도 폐수를 처리할 수 있어 독성 폐수처리 공정의 상용화 및 환경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영남대는 에너지저장용 대용량 전극소재와 광촉매, 화학 가스센서, 항균 바이오소재 등에 활용 범위가 넓을 것으로 보고 관련 신물질 연구를 확대하기로 했다.
대구=오경묵 기자 okmook@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