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탐사봇의 탐색 결과 씨젠의 1분기 주당순이익(EPS)은 195원으로 전년비 191.04% 증가했다. 이어 마크로젠(038290)(190.91%), 서흥(008490)(42.55%) 순이었다.
![바이오 관련주의 EPS](https://img.hankyung.com/photo/201907/20190708_071308.png)
EPS(Earnings Per Share)란 주당순이익으로, 당기순이익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값이다. 1주당 이익을 얼마나 창출했는지를 보여준다. 기업이 1년간 거둔 이익에 대한 주주의 몫을 의미하며 EPS가 꾸준히 증가했다는 것은 그 기업의 경영 실적이 양호하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씨젠 분기별 EPS (원)](http://img.hankyung.com/photo/201907/20190708_071309.png)
올해 EPS는 591원으로 전년비 57.6%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씨젠은 유전자(DNA 및 RNA) 분석을 통하여 질병의 원인을 감별하는 분자진단 시약개발을 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씨젠, 올플렉스(Allplex)가 실적 견인
씨젠의 올해 1분기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은 각각 275억원, 58억원, 51억원으로 전년비 12.24%, 114.81%, 104% 증가했다.
![씨젠 최근 실적](http://img.hankyung.com/photo/201907/20190708_071311.png)
씨젠의 1분기 부문별 실적은 분자진단 시약과 호흡기 매출이 85억원으로 전년비 25.2% 증가했다. 이어 성감염증 및 자궁경부암과 기타 부문이 각각 73억원, 49억원으로 전년비 10.4%, 33.3% 증가하며 실적을 견인했다.
![올플렉스(Allplex)](http://img.hankyung.com/photo/201907/20190708_071312.png)
씨젠의 올플렉스(Allplex). [사진=씨젠 홈페이지]
씨젠의 올해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은 각각 1175억원, 184억원, 158억원으로 전년비 16.57%, 104.44%, 61.22%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씨젠의 주력제품인 올플렉스를 도입한 고객 수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출시한 19개의 올플렉스 신제품 중 절반 이상이 순환기, 약제내성, 결핵 등 다양한 질환 진단 시약이다. 신제품 출시 후 본격적인 매출 발생까지 6개월 이상이 소요되는 점을 감안하면 통상 비수기인 3분기에도 제품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따른 실적 성장이 기대된다.
![씨젠 최근 1년 주가 추이](http://img.hankyung.com/photo/201907/20190708_071310.png)
씨젠의 최근 1년 주가 추이. [사진=네이버 증권]
한경탐사봇
이 기사는 한경닷컴과 버핏연구소가 공동 개발한 탐사봇 알고리즘에 기반해 작성된 것입니다. - 기사오류문의 02-6071-1112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