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대응책 고심…전문가들 "정치·외교로 풀어야"
[ 구은서 기자 ]
![](https://img.hankyung.com/photo/201907/AA.20076210.1.jpg)
日 “양국 간 신뢰 현저히 훼손” 주장
![](https://img.hankyung.com/photo/201907/AA.20076207.1.jpg)
경제산업성은 이번 조치의 이유에 대해 “양국 간 신뢰관계가 현저히 훼손됐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현지 언론들은 한국 대법원의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판결 이후 일본 정부가 한국에 해결 방안을 제시하라고 요구했지만 한국 정부가 받아들이지 않자 ‘보복’에 나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는 역사적 갈등의 불똥이 경제 쪽으로 옮겨붙은 셈이다. 지난해 10월과 11월 대법원은 일본 신일철주금(현 일본제철)과 미쓰비시중공업의 배상 책임을 인정했다.
‘화이트리스트 국가’에서 한국 제외 가능성
![](https://img.hankyung.com/photo/201907/AA.20076208.1.jpg)
![](https://img.hankyung.com/photo/201907/AA.20076209.1.jpg)
대응책 고심하는 정부… ‘맞보복’ 땐 서로 피해
문재인 대통령은 일본 정부에 수출 규제 조치의 철회를 공식 요청하고, 한국 기업에 피해가 발생하면 필요한 대응을 하겠다고 했다. 10일 청와대에서 열린 재계 총수들과의 간담회에서는 “일본 수출 규제 조치와 관련해 무엇보다 정부는 외교적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일본 정부도 화답해주기 바라며, 더 이상 막다른 길로만 가지 않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일본을 WTO에 제소하기 위해 검토하고 있다”며 “일본에 타격을 줄 수 있는 수출 규제나 다른 경제적 조치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WTO 제소와 판정까지 최소 2~3년이 소요돼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에 정부는 WTO 제소와 함께 국제 공조를 통해 일본을 압박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지만 상황이 녹록지만은 않다.
일본에 대항해 일본 기업의 한국산 수입을 틀어막는 ‘맞불 작전’도 고심하고 있다. 한국 정부의 ‘무기’로는 D램 반도체와 OLED 패널 등이 거론된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기업이 각각 세계시장의 73%와 50%를 차지하고 있는 D램과 낸드플래시는 전자, 자동차 등 거의 모든 산업에 필수 부품으로 들어간다. 수출을 제한하면 일본 기업도 상당한 타격을 받을 것이란 분석이다. 하지만 일본 기업의 부품 자급률이 한국 기업보다 훨씬 높아 ‘보복이 보복을 부르는’ 대책은 되레 피해를 키울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양국 간 정치적 갈등에서 빚어진 일인 만큼 양국의 정치권이 지도력을 발휘해 해법의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이유다.
■NIE 포인트
일본 정부가 한국에 대한 반도체 소재 수출을 규제하고 나선 배경을 알아보자. 우리나라 경제에서 반도체가 갖는 중요성을 정리해보자. 이번 규제가 한국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어떻게 양국 간 갈등을 풀어야 할지 등을 토론해보자.
구은서 한국경제신문 경제부 기자 koo@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