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일본의 경제보복이 당면한 경제 어려움의 전부인 것처럼 몰아서는 안 될 것이다. 일본이라는 외부 변수를 제외하더라도 위기 징후들이 뚜렷하다. 기업이익과 신용등급에 경고등이 켜진 지 오래고, 고용시장 바깥으로 쫓겨나는 사회적 약자들이 급증하고 있으며, 양극화도 갈수록 깊어지고 있다. 일본의 경제보복이 봉합된다고 해서 이런 일들이 저절로 해소될 리 없다.
그런 점에서 실패가 분명해진 ‘소득주도 성장’과 구호만 남은 혁신성장을 재점검하는 전기로 만들어나가는 후속작업이 절실하다.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회동에서 꺼낸 ‘정책 대전환’은 정파를 떠나 진지하게 논의해봐야 할 주제라고 할 것이다. 경제활력 회복을 위한 현안 중 국회에서 막혀있는 게 한두 가지가 아니다. 탄력근로제 기간 확대, 최저임금 차등화, 주휴수당 폐지 등은 이익집단의 실력행사와 각 정당들의 당리당략에 얽혀 경제의 목줄을 죄고 있다. 내년부터 50인 이상 사업장으로 확대되는 주52시간제 보완대책 마련도 한시가 급하다.
청와대 회동은 대체로 ‘뒤끝’이 좋지 않았다. ‘여야정 국정상설협의체’ 운영에 합의했지만 흐지부지된 게 1년도 안 된 일이다. 이번 회동마저 그 전철을 반복한다면 경제 살리기를 위한 ‘골든 타임’은 부질없이 지나가고 말 것이다. ‘일회성 이벤트’로 끝내지 말고 대화를 이어가기 위한 여야의 노력이 필요하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