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졸한 경제 보복에 항의하는 차원에서 불매운동은 자연스러운 대응이라고도 볼 수 있다. 우리 정부의 협상력을 강화하고, 일본 정부의 자제를 압박한다는 점에서도 그렇다. 문제는 감정적으로 치달으면서 애먼 기업들이 희생양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롯데그룹이 단적인 사례다. 롯데가 일본 기업과 합작한 유니클로 아사히맥주 등은 최근 매출이 30%가량 줄었다. 중국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보복의 표적이 돼 큰 타격을 입은 데 이어, 이번에는 한·일 갈등의 불똥이 덮친 것이다. “롯데마트가 사드 보복으로 중국에서 철수한 것처럼 유니클로를 철수시켜 보자”는 식의 반응도 나온다. 우리가 그토록 비판하는 중국의 만행과 크게 다를 바 없는 빗나간 애국주의일 뿐이다.
다이소 LG유니참 CU 세븐일레븐 등도 ‘불매 대상’에 오르내리고 있다. 다이소 대주주가 한국 기업인 데서 보듯 사실을 오인한 경우가 태반이다. 불매운동이 일본보다 국내 경기와 고용에 더 타격을 준다는 냉정한 계산도 필요하다. 유니클로만 해도 국내 200개 매장에서 5300여 명의 직원이 근무 중이다.
‘친일파’ ‘이적 행위’ 등 이분법적 언사를 쏟아내는 정부·정치권 행태가 가장 걱정스럽다. 무책임한 이들 선동에 휩쓸리는 것은 공멸의 길이다. 포스코를 비롯해 일본 자금이 투입된 기업을 무작정 친일로 몰 수 없는 것처럼, 고도의 경영 판단을 애국과 매국의 잣대로 재단하는 건 어불성설이다. 일본 주장에도 귀 기울일 대목이 있는 만큼 불매운동도 좀 더 성숙해져야 한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