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디스는 “이번 조치로 수출규제 대상이 지난 7월초의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외에 여타 품목으로 확산해 핵심 소재의 적시 확보와 관련한 불확실성이 커졌다”고 말했다. 일본의 전략물자 생산업체들은 이달 말부터 제품의 한국 수출에 앞서 정부 허가를 받아야 한다.
무디스는 “만약 새로운 절차에 따라 일본 정부가 장기간에 걸쳐 특정 소재의 한국 수출을 불허할 경우 이에 따른 차질은 중대한 수준이 될 것”이라면서도 “양국 제조업의 상호 연관성 및 글로벌 공급망에 미칠 심각한 영향을 고려할 때 이런 시나리오가 현실화할 것으로는 가정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수출 통제가 단순히 행정적인 차원에서 소재의 공급을 늦추는 수준에 그친다면 한국 기업들의 사업에 미치는 영향은 일시적이고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신용등급이 부여하고 있는 한국 기업들이 현재로선 무리 없이 대처하기에 충분한 수준으로 핵심 소재의 재고를 관리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산업별로는 수출 규제 심화시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스마트폰의 타격이 비교적 클 것으로 예상했다. 소재의 일본산 의존도가 높고, 일본 이외의 지역에서 비슷한 질의 소재를 충분히 조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반면 철강과 석유화학, 정유 산업은 일본 이외의 지역에서 필요 품목을 조달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일부 원료 및 중간재를 일본으로부터 수입하고 있으나 해당 품목이 대체 공급처를 찾기 쉬운 주로 범용재에 해당하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이태호 기자 thle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