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조폐공사, 삼한중보 등 주화 역사 시리즈 7차분 출시 2017-10-18 13:16:31
삼한통보(三韓通寶), 상평통보 당백전(常平通寶 當百錢) 금메달을 선보였다.모든 메달이 전량 매진됐다고 조폐공사는 설명했다. 이번 시리즈 금메달은 순금(au999) 20g에 직경 33mm으로 제작됐다.조폐공사가 순도와 중량을 보증하고 위변조 방지를 위해 보는 각도에 따라 글자가 달라지는 잠상기법을 적용했다.일련번호를...
[시장경제 길라잡이] "정부가 돈을 마구 찍어내면 살인적인 인플레이션 발생… 짐바브웨 달러·고종 때 발행된 당백전은 전형적인 사례" 2017-09-11 09:03:48
한 푼도 없다’는 말의 ‘땡전’이다. 당시 당백전으로 인해 인플레이션의 폐해를 입게 된 사람들은 돈의 가치를 크게 떨어뜨린 당백전을 ‘땅돈’이라고 낮잡아 불렀고, 나중에는 ‘땡전’으로 바꿔 불렀다. 그래서 땡전은 지금까지도 ‘아주 적은 돈’을 가리키는 말로...
[역사 속 숨은 경제 이야기] 경복궁 재건과 당백전 그리고 인플레이션 2016-04-29 19:51:33
것도 이러한 연유에서 비롯된 일이다. 당백전은 발행된 지 1년도 되지 않아 사용이 중지되고 회수되는 운명을 맞이하게 된다. 하지만 불행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경복궁 재건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신설한 각종 명목의 세금과 악화 당백전의 주조까지, 연이은 실정으로 흥선대원군에 대한 여론은 갈수록 흉흉해져 갔다....
[한국 근현대사 공부] 흥선대원군이 물러나고 조선의 문이 열리다…일본에 이어 미국·프랑스·러시아 등과 조약 2015-12-11 17:25:29
등 개혁을 펼쳤습니다.당백전·통행세·쇄국정책그러나 흥선대원군이 잘못한 일들도 있었지요. 왕실의 권위를 세우려 벌인 일들이 백성들의 삶에 무리를 준 것입니다. 우선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경복궁을 다시 세우는 데 필요한 돈을 만들어내는 것도 문제였습니다. 흥선대원군은 공사비를 마련하기 위해...
[한국사 공부] 왕의 아버지가 정치를 대신하다 2015-10-16 17:23:14
되는 당백전이 화근이 됩니다. 백성들은 백성들대로 너무나 공사 기간이 길어지고 힘에 부친 경복궁 중건에 반발하였고, 당백전은 오히려 실제 가치가 너무나 폭락해 물가 폭등의 결과만 가져오게 되었습니다. 점차 대원군의 지지가 눈에 띄게 확 줄어들게 되지요.한편 당시 점차 우리나라에도 다가오는 서양 세력에 대해...
[생글기자 코너] 경제동아리 'DEL'을 아시나요? 등 2015-07-03 16:49:09
100만 원짜리 지폐를 찍어낸 것이다. 5개월 동안 찍어낸 당백전의 양은 1600만 냥이나 됐다. 당백전을 발행하던 초기인 1866년 12월 말 쌀 한 섬(2가마)의 가격은 7~8냥이었으나 2년도 안 돼 6배까지 폭등했다. 화폐 가치는 폭락해 청나라 동전을 사용해야 할 지경에 이르렀고, 물가는 크게 상승해 백성들의 삶은 어려워져...
우리나라 최초의 신식 주화, 화폐에도 새겨진 왕의 권위? 쌍룡의 의미는’ 2014-12-13 15:40:19
못 했는데, 당백전이나 당오전과 같은 악전들로 인한 화폐에 대한 뿌리 깊은 불신과 당시의 일본을 배척하는 문화 등이 일본 화폐의 유통에 적잖은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최초의 신식 주화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우리나라 최초의 신식 주화, 백년도 전의 화폐라니 신기하다", "우리나라 최초의 신식...
[오피니언] 대한민국, 여기까지인가 등 2013-05-31 13:56:06
유원지였다. 그렇게 경복궁 중건을 위해 당백전을 찍어대던 시절로 돌아갔다. 밀치고 넘어져 밟혀 죽었다는 구한말 풍경 말이다. 21세기 아비투스는 부재(不在)증명을 뗀 지 오래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카톡은 집단 관음증의 증폭기다. 스마트폰에는 엉뚱한 사진들이 인턴녀로 도배질되었다. 하기야 주류 언론부터...
[정규재 칼럼] 대한민국, 여기까지인가 2013-05-27 17:03:18
유원지였다. 그렇게 경복궁 중건을 위해 당백전을 찍어대던 시절로 돌아갔다. 밀치고 넘어져 밟혀 죽었다는 구한말 풍경 말이다. 21세기 아비투스는 부재(不在)증명을 뗀 지 오래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카톡은 집단 관음증의 증폭기다. 스마트폰에는 엉뚱한 사진들이 인턴녀로 도배질되었다. 하기야 주류 언론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