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원물가 1.3%, 생활물가 0.8%, 신선식품지수 7.4% 올라 장바구니 물가를 가늠하는 신선식품지수는 전달보다 1.8%, 1년 전보다 7.4% 올랐다.
특히 신선채소는 지난달보단 4.2% 올랐지만 작년 같은 달보다 25.1% 급등해 주부의 이맛살을 찌푸렸다. 지난달에 견줘 신선어개는 0.7%, 신선과실은 0.1% 올랐다.
지출 목적별로 보면 1월과 비교해 가정용품ㆍ가사서비스 부문이 0.8% 올랐고식료품ㆍ비주류음료 부문과 교통 부문이 각각 0.5% 상승했다. 주택ㆍ수도ㆍ전기ㆍ연료 부문도 0.4% 상승했다.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해선 기타상품ㆍ서비스(-4.4%), 통신(0.0%)을 제외한 모든부문이 올랐다.
품목 성질별로는 농축수산물이 전달보다 1.0%, 작년 2월보다 1.6% 뛰었다.
주요 품목을 보면 오이(27.6%), 양파(18.3%), 생화(16.9%) 가격이 전달보다 많이 올랐다. 딸기(-20.9%), 돼지고기(-3.4%), 브로콜리(-20.5%) 가격은 내려갔다.
작년 같은 달에 견줘 배추(182.3%), 당근(173.8%), 양파(83.9%) 등 채소 가격은폭등했다. 귤(-31.3%), 돼지고기(-14.0%), 고춧가루(-15.8%) 가격은 하향 안정된 모습이다.
공업제품은 전월보다 0.3%, 작년 2월보다는 0.7% 상승했다.
전달과 비교해 휘발유(1.3%), 유모차(23.3%), 키친타월(7.8%)이 올랐고 핸드백(-8.7%)은 내렸다.
서비스 부문은 지난달보다 0.3%, 1년 전보다 1.2% 상승했다. 이 중 전세는 작년동월 대비 3.6%, 월세는 1.9% 올라 전체 집세가 3.1% 높아졌다.
공공서비스는 전월과 같았으며 작년 2월보다 1.1% 올랐다. 시내버스료(6.0%),전철료(12.5%), 입원진료비(2.0%) 등이 1년 전보다 상승한 탓이다.
개인서비스는 작년 같은 달보다 0.9% 올랐다. 고등학생 학원비(8.1%), 중학생학원비(7.0%), 초등학생 학원비(4.9%) 등 사교육비가 오름세를 보였다.
16개 광역시도별로 보면 지난달보다 물가가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충북(0.5%)이었다. 경기ㆍ강원ㆍ경북ㆍ경남ㆍ제주도는 0.4% 상승했다. 나머지 10개 시도는 0.2~0.3%씩 높아졌다.
clap@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특히 신선채소는 지난달보단 4.2% 올랐지만 작년 같은 달보다 25.1% 급등해 주부의 이맛살을 찌푸렸다. 지난달에 견줘 신선어개는 0.7%, 신선과실은 0.1% 올랐다.
지출 목적별로 보면 1월과 비교해 가정용품ㆍ가사서비스 부문이 0.8% 올랐고식료품ㆍ비주류음료 부문과 교통 부문이 각각 0.5% 상승했다. 주택ㆍ수도ㆍ전기ㆍ연료 부문도 0.4% 상승했다.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해선 기타상품ㆍ서비스(-4.4%), 통신(0.0%)을 제외한 모든부문이 올랐다.
품목 성질별로는 농축수산물이 전달보다 1.0%, 작년 2월보다 1.6% 뛰었다.
주요 품목을 보면 오이(27.6%), 양파(18.3%), 생화(16.9%) 가격이 전달보다 많이 올랐다. 딸기(-20.9%), 돼지고기(-3.4%), 브로콜리(-20.5%) 가격은 내려갔다.
작년 같은 달에 견줘 배추(182.3%), 당근(173.8%), 양파(83.9%) 등 채소 가격은폭등했다. 귤(-31.3%), 돼지고기(-14.0%), 고춧가루(-15.8%) 가격은 하향 안정된 모습이다.
공업제품은 전월보다 0.3%, 작년 2월보다는 0.7% 상승했다.
전달과 비교해 휘발유(1.3%), 유모차(23.3%), 키친타월(7.8%)이 올랐고 핸드백(-8.7%)은 내렸다.
서비스 부문은 지난달보다 0.3%, 1년 전보다 1.2% 상승했다. 이 중 전세는 작년동월 대비 3.6%, 월세는 1.9% 올라 전체 집세가 3.1% 높아졌다.
공공서비스는 전월과 같았으며 작년 2월보다 1.1% 올랐다. 시내버스료(6.0%),전철료(12.5%), 입원진료비(2.0%) 등이 1년 전보다 상승한 탓이다.
개인서비스는 작년 같은 달보다 0.9% 올랐다. 고등학생 학원비(8.1%), 중학생학원비(7.0%), 초등학생 학원비(4.9%) 등 사교육비가 오름세를 보였다.
16개 광역시도별로 보면 지난달보다 물가가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충북(0.5%)이었다. 경기ㆍ강원ㆍ경북ㆍ경남ㆍ제주도는 0.4% 상승했다. 나머지 10개 시도는 0.2~0.3%씩 높아졌다.
clap@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