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硏 "OECD 36개국 중 24위…임금피크제, 정년연장 필요"
대한민국의 50·60대는 고용불안과 노후준비 부족으로 경제적 행복감이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행복수준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6개 회원국 중 24위에 불과하다. 이를 끌어올리려면 고령자의 일자리 창출 등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현대경제연구원 김동열 수석연구위원이 17일 세계 행복의 날(20일)을 앞두고 내놓은 '세대별 행복추이' 보고서를 보면 연구원이 추산한 우리나라 국민의 경제적 행복지수는 지난해 100점 만점에 40.4점에 불과했다.
특히 50대는 36.4점, 60대 이상은 35.7점으로 다른 연령대(40.4~45.9점)를 밑돌았다.
이는 이들 연령층의 소득·분배·소비·고용·노후 등 '경제적 행복 인프라'가부실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김 연구위원에 통계청의 세부자료를 분석한 결과 60대 이상 계층의 월 가처분소득은 112만원으로 전 연령대에서 가장 낮았다. 소득보다 지출이 많은 적자가구의 비중도 38.2%로 유일하게 30% 대를 넘겼다.
중산층의 비중도 46.9%로 전체 평균(65.3%)에 크게 미달했다. 월소비액은 124만원으로 40대(266만원)의 반 토막도 안됐다. 지출에서 식료품의 비중인 엥겔지수는전 연령대에서 최고였다.
고용률은 37.5%에 불과했다. 정규직 비율도 전체 평균 66.7%의 절반도 안 되는29.5%에 그쳤다.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 가입률은 14.6%로 70~80%대인 다른 연령대와현격한 차이를 보여 노후문제가 심각했다.
김 연구위원은 "선진국은 60세 이상의 행복도가 가장 높은 것과 달리 우리는 위와 같은 열악한 행복인프라로 행복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고 말했다.
50대 역시 상황은 비슷했다. 중산층의 비중은 62.1%로 전체 평균(65.3%)에 못미쳤다. 소득은 전 연령대에서 가장 많지만 엥겔지수는 60대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특히 오락문화비 등 삶의 질과 관련한 지출 비중은 작아 생활수준이 열악했다.
정규직 비율은 62.4%로 60대 이상을 제외한 전 계층에서 가장 낮았다. 자영업자의 비중도 21.9%로 다른 연령층보다 많아 고용의 안정성이 크게 떨어졌다.
김 연구위원은 "60세 이상은 노후준비 부족, 50대는 고용 불안이 행복에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그는 60대 이상 고령자를 위한 기초노령연금 지원과 함께 50대 고용안정을 위한 임금피크제, 정년연장 조치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banghd@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대한민국의 50·60대는 고용불안과 노후준비 부족으로 경제적 행복감이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행복수준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6개 회원국 중 24위에 불과하다. 이를 끌어올리려면 고령자의 일자리 창출 등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현대경제연구원 김동열 수석연구위원이 17일 세계 행복의 날(20일)을 앞두고 내놓은 '세대별 행복추이' 보고서를 보면 연구원이 추산한 우리나라 국민의 경제적 행복지수는 지난해 100점 만점에 40.4점에 불과했다.
특히 50대는 36.4점, 60대 이상은 35.7점으로 다른 연령대(40.4~45.9점)를 밑돌았다.
이는 이들 연령층의 소득·분배·소비·고용·노후 등 '경제적 행복 인프라'가부실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김 연구위원에 통계청의 세부자료를 분석한 결과 60대 이상 계층의 월 가처분소득은 112만원으로 전 연령대에서 가장 낮았다. 소득보다 지출이 많은 적자가구의 비중도 38.2%로 유일하게 30% 대를 넘겼다.
중산층의 비중도 46.9%로 전체 평균(65.3%)에 크게 미달했다. 월소비액은 124만원으로 40대(266만원)의 반 토막도 안됐다. 지출에서 식료품의 비중인 엥겔지수는전 연령대에서 최고였다.
고용률은 37.5%에 불과했다. 정규직 비율도 전체 평균 66.7%의 절반도 안 되는29.5%에 그쳤다.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 가입률은 14.6%로 70~80%대인 다른 연령대와현격한 차이를 보여 노후문제가 심각했다.
김 연구위원은 "선진국은 60세 이상의 행복도가 가장 높은 것과 달리 우리는 위와 같은 열악한 행복인프라로 행복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고 말했다.
50대 역시 상황은 비슷했다. 중산층의 비중은 62.1%로 전체 평균(65.3%)에 못미쳤다. 소득은 전 연령대에서 가장 많지만 엥겔지수는 60대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특히 오락문화비 등 삶의 질과 관련한 지출 비중은 작아 생활수준이 열악했다.
정규직 비율은 62.4%로 60대 이상을 제외한 전 계층에서 가장 낮았다. 자영업자의 비중도 21.9%로 다른 연령층보다 많아 고용의 안정성이 크게 떨어졌다.
김 연구위원은 "60세 이상은 노후준비 부족, 50대는 고용 불안이 행복에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그는 60대 이상 고령자를 위한 기초노령연금 지원과 함께 50대 고용안정을 위한 임금피크제, 정년연장 조치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banghd@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