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수 한국은행 총재가 미국 연방준비제도(FRB), 유럽중앙은행(ECB), 영란은행(BOE) 등 주요국 중앙은행의 긴축이 동시에 일어날때와 차례로 일어날 때 아시아권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분석을 내놨다.
김 총재는 10일 서울 조선호텔에서 열린 IIF 아시아 CEO 서밋'의 기조연설자로 나서 "앞으로 출구전략으로 선진국 금리가 상승하면 선진국 채권 보유 자산손실이 발생하고 국외자금이 급격히 유출되며 대출부실화·시장유동성 경색이 발생할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긴축기조 전환이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 자본유출의 형태로 신흥시장국이받는 충격의 크기가 매우 크다"고 설명했다.
반면에 순차적으로 일어날 경우 개별 선진국의 정책기조 전환 때마다 주요 통화의 환율 변동성이 커질 우려가 있다"고 봤다.
김 총재는 금융기관이 이에 대비해 자산측면에서 스트레스 테스트 등을 통해 금리 급등에 따른 시장 위험을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채측면에서도 거시건전성 정책 등 자금유출 압박을 완화하는 다양한 조치를만들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 총재는 금융위기 이후 주요 20개국(G20) 회의의 금융안정위원회(FSB)가 주도해 만든 글로벌 금융규제 개혁을 '제약의 강화'가 아니라 '아시아지역 금융부문 재건설의 기회'로 생각하고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경기가 호황이고 각종 지표가 안정적일 때 시스템적 리스크가 축적되는 '금융안정의 역설' 현상이 과거 위기사례 때 나타났다"며 "아시아지역은 앞으로 경기가 회복될 때 리스크 추구 현상이 더 현저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banghd@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김 총재는 10일 서울 조선호텔에서 열린 IIF 아시아 CEO 서밋'의 기조연설자로 나서 "앞으로 출구전략으로 선진국 금리가 상승하면 선진국 채권 보유 자산손실이 발생하고 국외자금이 급격히 유출되며 대출부실화·시장유동성 경색이 발생할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긴축기조 전환이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 자본유출의 형태로 신흥시장국이받는 충격의 크기가 매우 크다"고 설명했다.
반면에 순차적으로 일어날 경우 개별 선진국의 정책기조 전환 때마다 주요 통화의 환율 변동성이 커질 우려가 있다"고 봤다.
김 총재는 금융기관이 이에 대비해 자산측면에서 스트레스 테스트 등을 통해 금리 급등에 따른 시장 위험을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채측면에서도 거시건전성 정책 등 자금유출 압박을 완화하는 다양한 조치를만들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 총재는 금융위기 이후 주요 20개국(G20) 회의의 금융안정위원회(FSB)가 주도해 만든 글로벌 금융규제 개혁을 '제약의 강화'가 아니라 '아시아지역 금융부문 재건설의 기회'로 생각하고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경기가 호황이고 각종 지표가 안정적일 때 시스템적 리스크가 축적되는 '금융안정의 역설' 현상이 과거 위기사례 때 나타났다"며 "아시아지역은 앞으로 경기가 회복될 때 리스크 추구 현상이 더 현저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banghd@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