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P대비 90%…OECD평균보다 15%p 높아
한국 경제의 '뇌관'으로 떠오른 가계부채 규모는 올해 3월 말 현재 961조6천억원이다.
2004년 말 가계부채가 494조2천억원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8년여만에 두 배 가까이로 늘어난 셈이다.
1999∼2012년 연평균 가계부채 증가율은 11.7%로, 같은 기간 국내총생산(GDP) 7.3%, 가계의 가처분소득 5.7% 증가율보다 훨씬 높다.
국제적으로 한국의 가계부채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다소 많은 편에속한다.
2011년 기준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중은 89.2%까지 올랐다. OECD 평균 74.5%를 15%포인트가량 웃도는 수치다. OECD 28개국 중에서는 10위다.
영국이나 미국은 각각 100.8%, 89.9%로 한국보다 높지만, 일본은 82.1%로 한국보다 낮다.
2011년 기준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는 163.7%로 OECD 평균 136.5%보다 약 27%포인트 높다. 28개국 중에는 7위다. 미국은 119.6%, 영국 159.6%, 일본 131.6%다.
2011년 기준 금융자산 대비 가계부채 비중은 한국이 48.0%로 미국 26.5%, 영국 35.5%, 일본 24.5%보다 높다.
다만, 가계 총자산 대비 가계부채 비중은 같은 시점 기준 10.9%로 미국 19.9%,영국 17.4%, 일본 14.8%보다 낮다. 이는 가계 채무상환능력은 상대적으로 양호하다는 것을 뜻한다.
가계부채는 963조8천억원을 찍은 지난해 말 이후 다소 줄어들었지만, '질적 구조' 측면에서는 여전히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저소득·고령층의 소득 대비 부채 비율이 높은 점이 위험 요인으로 지적된다.
올해 3월 현재 소득 대비 부채비율은 소득 수준이 가장 낮은 1분위가 184%로 2분위(122%), 3분위(130%), 4분위(157%)를 앞지른다.
연령별로는 20대의 소득 대비 부채비율이 88%인데 비해 30대는 152%, 40대는 178%, 50대는 207%, 60대 이상은 253%로 나이가 들수록 높아졌다.
여러 금융기관에 빚을 진 다중채무자가 322만명으로 추산되는 점, 주택시장의부진으로 주택담보대출 상환능력이 하락한 하우스푸어(내집빈곤층)가 9만8천명(금융연구원 추산)에 달하는 점도 가계부채 구조의 취약점으로 꼽힌다.
ksw08@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한국 경제의 '뇌관'으로 떠오른 가계부채 규모는 올해 3월 말 현재 961조6천억원이다.
2004년 말 가계부채가 494조2천억원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8년여만에 두 배 가까이로 늘어난 셈이다.
1999∼2012년 연평균 가계부채 증가율은 11.7%로, 같은 기간 국내총생산(GDP) 7.3%, 가계의 가처분소득 5.7% 증가율보다 훨씬 높다.
국제적으로 한국의 가계부채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다소 많은 편에속한다.
2011년 기준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중은 89.2%까지 올랐다. OECD 평균 74.5%를 15%포인트가량 웃도는 수치다. OECD 28개국 중에서는 10위다.
영국이나 미국은 각각 100.8%, 89.9%로 한국보다 높지만, 일본은 82.1%로 한국보다 낮다.
2011년 기준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는 163.7%로 OECD 평균 136.5%보다 약 27%포인트 높다. 28개국 중에는 7위다. 미국은 119.6%, 영국 159.6%, 일본 131.6%다.
2011년 기준 금융자산 대비 가계부채 비중은 한국이 48.0%로 미국 26.5%, 영국 35.5%, 일본 24.5%보다 높다.
다만, 가계 총자산 대비 가계부채 비중은 같은 시점 기준 10.9%로 미국 19.9%,영국 17.4%, 일본 14.8%보다 낮다. 이는 가계 채무상환능력은 상대적으로 양호하다는 것을 뜻한다.
가계부채는 963조8천억원을 찍은 지난해 말 이후 다소 줄어들었지만, '질적 구조' 측면에서는 여전히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저소득·고령층의 소득 대비 부채 비율이 높은 점이 위험 요인으로 지적된다.
올해 3월 현재 소득 대비 부채비율은 소득 수준이 가장 낮은 1분위가 184%로 2분위(122%), 3분위(130%), 4분위(157%)를 앞지른다.
연령별로는 20대의 소득 대비 부채비율이 88%인데 비해 30대는 152%, 40대는 178%, 50대는 207%, 60대 이상은 253%로 나이가 들수록 높아졌다.
여러 금융기관에 빚을 진 다중채무자가 322만명으로 추산되는 점, 주택시장의부진으로 주택담보대출 상환능력이 하락한 하우스푸어(내집빈곤층)가 9만8천명(금융연구원 추산)에 달하는 점도 가계부채 구조의 취약점으로 꼽힌다.
ksw08@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