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기업 가운데 수익악화로 이자조차 제대로갚지 못하는 부실우려 기업 중 대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8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부실이 현실화됐을 때 금융시장에 미치는 악영향도 그만큼 거대할 수밖에 없다.
그 악영향이 역설적으로 중소기업의 자금 숨통을 죌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이한득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3일 '부실위험 기업의 대형화 금융회사 건전성떨어뜨리고 있다'라는 보고서에서 "부실위험이 높은 한계기업 중에서 대기업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며 "부실 확산을 차단하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 상장된 전체 비금융 기업은 656개다. 이중 한계기업으로 분류되는 기업은 170개인데, 대기업이 80.6%(137개)를 차지한다.
이 연구위원에 따르면 지난 9월말 현재 은행의 부실자산 규모는 25억7천억원으로, 이중 22조원이 기업의 부실채권이다. 특히 올들어 신규발생한 부실채권을 보면대기업이 전년보다 2배에 가까운 8조5천억원으로 급증세다.
이 연구위원은 "중소기업의 부실 수준은 낮아지고 있는 반면 대기업의 부실 정도는 커지고 있다"며 "이는 금융위기를 겪으며 대기업 구조조정이 지연되다가 최근부실이 현실화되기 시작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대규모 한계기업'이 늘고 있다는 점이 우려스럽다고 했다. 한계기업이란 영업이익으로 이자조차 갚지 못하면서 현금수입이 같은 기간 차입금 상환액에미치지 못하는 '한계에 다다른' 기업이다.
실제로 한계기업의 차입금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5년 13.3%에서 올해상반기 34.0%까지 치솟았다. 같은 기간 한계기업의 평균 차입금은 1천270억원에서 6천799억원으로 5.4배나 증가해 일반 기업(2천394억원→4천610억원)을 웃돌았다.
이 연구위원은 "한계기업 중 대기업의 비중은 2005년 64.2%에서 2013년 상반기81.1%로 높아졌다"며 "차입금 규모로 봐도 전체의 99.1%가 대기업 차입금"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계기업의 규모가 커지며 금융기관의 건전성이 위협받을 수 있다고 했다.
대기업은 몇 개 기업만 부실화해도 전체 금융시장에 미치는 여파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
특히 대기업 부실이 늘어날수록 금융기관은 위험자산을 줄이는 방향으로 대응할것으로 봤다. 그는 "결국 중소기업 자금조달부터 위축될 것"이라며 "단기 신용경색기업이 증가할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당국이 부실 가능성이 큰 기업을 선별해 미리 구조조정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부실기업에 대한 추가 자금공급도 억제해야 한다고 했다. 금융회사에도신용위험 평가 능력을 높여 건전성을 강화하라고 제언했다.
banghd@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부실이 현실화됐을 때 금융시장에 미치는 악영향도 그만큼 거대할 수밖에 없다.
그 악영향이 역설적으로 중소기업의 자금 숨통을 죌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이한득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3일 '부실위험 기업의 대형화 금융회사 건전성떨어뜨리고 있다'라는 보고서에서 "부실위험이 높은 한계기업 중에서 대기업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며 "부실 확산을 차단하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 상장된 전체 비금융 기업은 656개다. 이중 한계기업으로 분류되는 기업은 170개인데, 대기업이 80.6%(137개)를 차지한다.
이 연구위원에 따르면 지난 9월말 현재 은행의 부실자산 규모는 25억7천억원으로, 이중 22조원이 기업의 부실채권이다. 특히 올들어 신규발생한 부실채권을 보면대기업이 전년보다 2배에 가까운 8조5천억원으로 급증세다.
이 연구위원은 "중소기업의 부실 수준은 낮아지고 있는 반면 대기업의 부실 정도는 커지고 있다"며 "이는 금융위기를 겪으며 대기업 구조조정이 지연되다가 최근부실이 현실화되기 시작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대규모 한계기업'이 늘고 있다는 점이 우려스럽다고 했다. 한계기업이란 영업이익으로 이자조차 갚지 못하면서 현금수입이 같은 기간 차입금 상환액에미치지 못하는 '한계에 다다른' 기업이다.
실제로 한계기업의 차입금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5년 13.3%에서 올해상반기 34.0%까지 치솟았다. 같은 기간 한계기업의 평균 차입금은 1천270억원에서 6천799억원으로 5.4배나 증가해 일반 기업(2천394억원→4천610억원)을 웃돌았다.
이 연구위원은 "한계기업 중 대기업의 비중은 2005년 64.2%에서 2013년 상반기81.1%로 높아졌다"며 "차입금 규모로 봐도 전체의 99.1%가 대기업 차입금"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계기업의 규모가 커지며 금융기관의 건전성이 위협받을 수 있다고 했다.
대기업은 몇 개 기업만 부실화해도 전체 금융시장에 미치는 여파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
특히 대기업 부실이 늘어날수록 금융기관은 위험자산을 줄이는 방향으로 대응할것으로 봤다. 그는 "결국 중소기업 자금조달부터 위축될 것"이라며 "단기 신용경색기업이 증가할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당국이 부실 가능성이 큰 기업을 선별해 미리 구조조정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부실기업에 대한 추가 자금공급도 억제해야 한다고 했다. 금융회사에도신용위험 평가 능력을 높여 건전성을 강화하라고 제언했다.
banghd@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