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수정, 본문 중 시간선택제 일자리 채용 비율 0.008%를 0.8%로 수정, 기재부해명 추가.>>15개 기관 148명 뽑아…올해 목표는 136개 기관 1천27명
지난해 공공기관 전체 신규채용 중 정부의 핵심고용 정책인 시간선택제 일자리 채용은 1천명 중 8명꼴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공공기관 경영정보공개시스템 알리오에 따르면, 지난해 304개 공공기관 전체 신규채용 1만7천245명 중 시간선택제 일자리는 15개 기관 148명(0.8%)이었다.
기관별로 보면 한국중부발전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채용 규모가 49명으로 가장컸고, 근로복지공단(30명), 한국수력원자력(28명), 한국조폐공사(10명) 등이 뒤를이었다.
지난해 공공기관 신규채용 대비 시간선택제 채용은 2011년 전체 신규채용 1만4천923명 중 53명(0.3%), 2012년 1만6천537명 중 62명(0.3%)보다는 소폭 늘었다.
정부는 지난해 6월 고용률 70% 달성을 위한 일자리 로드맵을 발표하고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핵심 과제 중 하나로 추진해왔다.
공공기관을 시작으로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정착시킨 뒤 민간으로 확산하겠다는방침을 내놨지만 공공기관 채용에는 아직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는 올해 136개 공공기관에서 시간선택제 일자리로 1천27명을 뽑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채용 규모의 7배에 가까운 목표다.
시간선택제 일자리 정착을 위해 정부는 지난해부터 기관별 여건에 맞는 시간선택제 일자리 유형을 발굴해 도입을 권고하는 등 홍보와 독려에 나섰다.
올해 2월에는 기관별로 경력단절 여성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채용목표 비율을 50% 이상으로 설정·권고하고 이행실적에 따라 경영평가에 가점을 주는 등의 방안도마련했다.
그러나 정부의 정책 노력이 어느정도 효과를 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공공기관이 그동안 정부 정책방향에 따라 고무줄처럼 채용방식을 바꿔온 것에 비춰보면 올해 시간선택제 채용을 대폭 늘린다고 해도 제도 정착보다는 한시적 확대에 그칠 수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지난 이명박 정부가 고졸구직자의 차별을 없애는 '열린 고용'을 강조하며 확대한 공공기관 고졸인재 채용의 경우 박근혜 정부가 들어선 뒤 다시 축소되는추세다.
당시 이명박 정부는 고졸 적합 직무를 발굴하고 외국어 등 일부 시험과목을 배제하는 한편, 고졸자의 임금·승진 차별 철폐 등 가이드라인을 만들며 적극적으로정책 노력을 기울였다.
이에 2012년초 2천218명으로 집계된 공공기관 고졸자 채용계획은 연말 2천508명으로 늘었고 2013년에는 2천512명으로 더 증가했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가 들어선 지난해 실제 고졸자 채용은 2천119명으로 목표의84.3%에 그쳤으며, 2014년 고졸자 채용 계획은 1천933명으로 2013년 계획 대비 23%나 줄었다.
기재부 관계자는 "공공기관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채용 확대 정책은 지난해 하반기에 발표돼 아직 현장에서 직접 성과를 내기는 이른 단계"라며 "올해는 시간선택제채용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시간선택제 일자리가 공공기관 채용현장에 확실히 정착할 수 있도록 채용실적을 분기별로 점검·독려하고, 시간선택제 적합직무 발굴, 공공기관 경영평가와의 연계 등에 역점을 둬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charg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지난해 공공기관 전체 신규채용 중 정부의 핵심고용 정책인 시간선택제 일자리 채용은 1천명 중 8명꼴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공공기관 경영정보공개시스템 알리오에 따르면, 지난해 304개 공공기관 전체 신규채용 1만7천245명 중 시간선택제 일자리는 15개 기관 148명(0.8%)이었다.
기관별로 보면 한국중부발전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채용 규모가 49명으로 가장컸고, 근로복지공단(30명), 한국수력원자력(28명), 한국조폐공사(10명) 등이 뒤를이었다.
지난해 공공기관 신규채용 대비 시간선택제 채용은 2011년 전체 신규채용 1만4천923명 중 53명(0.3%), 2012년 1만6천537명 중 62명(0.3%)보다는 소폭 늘었다.
정부는 지난해 6월 고용률 70% 달성을 위한 일자리 로드맵을 발표하고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핵심 과제 중 하나로 추진해왔다.
공공기관을 시작으로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정착시킨 뒤 민간으로 확산하겠다는방침을 내놨지만 공공기관 채용에는 아직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는 올해 136개 공공기관에서 시간선택제 일자리로 1천27명을 뽑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채용 규모의 7배에 가까운 목표다.
시간선택제 일자리 정착을 위해 정부는 지난해부터 기관별 여건에 맞는 시간선택제 일자리 유형을 발굴해 도입을 권고하는 등 홍보와 독려에 나섰다.
올해 2월에는 기관별로 경력단절 여성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채용목표 비율을 50% 이상으로 설정·권고하고 이행실적에 따라 경영평가에 가점을 주는 등의 방안도마련했다.
그러나 정부의 정책 노력이 어느정도 효과를 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공공기관이 그동안 정부 정책방향에 따라 고무줄처럼 채용방식을 바꿔온 것에 비춰보면 올해 시간선택제 채용을 대폭 늘린다고 해도 제도 정착보다는 한시적 확대에 그칠 수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지난 이명박 정부가 고졸구직자의 차별을 없애는 '열린 고용'을 강조하며 확대한 공공기관 고졸인재 채용의 경우 박근혜 정부가 들어선 뒤 다시 축소되는추세다.
당시 이명박 정부는 고졸 적합 직무를 발굴하고 외국어 등 일부 시험과목을 배제하는 한편, 고졸자의 임금·승진 차별 철폐 등 가이드라인을 만들며 적극적으로정책 노력을 기울였다.
이에 2012년초 2천218명으로 집계된 공공기관 고졸자 채용계획은 연말 2천508명으로 늘었고 2013년에는 2천512명으로 더 증가했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가 들어선 지난해 실제 고졸자 채용은 2천119명으로 목표의84.3%에 그쳤으며, 2014년 고졸자 채용 계획은 1천933명으로 2013년 계획 대비 23%나 줄었다.
기재부 관계자는 "공공기관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채용 확대 정책은 지난해 하반기에 발표돼 아직 현장에서 직접 성과를 내기는 이른 단계"라며 "올해는 시간선택제채용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시간선택제 일자리가 공공기관 채용현장에 확실히 정착할 수 있도록 채용실적을 분기별로 점검·독려하고, 시간선택제 적합직무 발굴, 공공기관 경영평가와의 연계 등에 역점을 둬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charg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