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산업의 핵심경쟁력(core competency)이최근 빠르게 변하고 있어 뒤쳐지지 않으려면 스마트카, 그린카 사업에 대한 연구개발을 확대하고 정부의 규제정비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장우석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24일 '자동차산업 핵심경쟁력의 중심이동'연구자료를 통해 "세계 최고의 휴대폰 제조업체들이 스마트폰 트렌드에 대처하지 못해 추락한 전철을 자동차 사업에서 되풀이 하지 않으려면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연구자료에 따르면 자동차의 진화 트렌드는 스마트카, 자율주행 자동차 등 차량시스템의 빠른 지능화, 전기배터리와 모터로 구동되는 동력원의 전기화, 선진국의차량 연비규제 강화에 따른 차체의 경량화 등이다.
장 연구위원은 "이런 트렌드의 변화는 가치사슬 변화, 산업구조 재편으로 이어지며 완성차와 부품·소재 공급 기업에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가치사슬 변화를 보면 먼저 소재부문에서 철강 산업의 비중이 감소하고 비철금속과 합성수지 산업의 비중이 증가한다. 국내 자동차 산업 전체의 중간 투입액을 놓고 볼 때 철강 1차제품의 비중은 19990년 10.9%에서 2010년 7.2%로 감소한 반면에플라스틱제품은 4.5%에서 6.6%로 늘었다.
부품은 기계 장비와 엔진부품의 비중이 줄고 전자장비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세계 자동차 제조원가에서 전자부품, 소프트웨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35%, 2050년 50%로 확대할 전망이다.
완성차는 그린카, 스마트카 생산비중이 커지고 신규 진입자의 등장, 주도권 역전 가능성도 증가한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내연기관 승용차 판매량은 2020년을 기점으로 감소하기 시작해 2030년에는 전기차 등의 판매가 내연기관 엔진차를 추월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2003년 설립된 전기차 제조업체 테슬러 모터스,구글의 자율주행자동차 등은 기존 완성차 업체들을 위협하는 실정이다.
여기에 전기차의 보급확대는 정유업체의 사업모델 변화를 촉진하고 스마트카는지능형 교통시스템 구축을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장규모는2015년 1천435억엔에서 2025년 2천901억엔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장 연구위원은 "이런 가치사슬의 변화로 자동차 산업의 핵심부문은 기계부품 제작과 조립 중심에서 소프트웨어, IT제조, 첨단소재 중심으로의 변화를 낳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자동차 영역으로의 특허분쟁 확산, 자동차 운영체제(OS) 및 기술표준 선점을 위한 경쟁 격화, 핵심기술 획득을 위한 M&A활성화, 자동차 산업내 기업 관계의 수평적구조 전환, 인프라확충과 관련한 정부역할 중요성 증대 등이 예상되는 대목이다.
장 연구위원은 이러한 자동차 산업의 지각변동을 새로운 성장의 계기로 활용하려면 "고속성장이 예견되는 스마트카, 그린카 사업과 기술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연구개발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자동차 산업내 산학연 협력 활성화, 중소·벤처기업의 기술보호 강화 등 혁신 지향적 경쟁환경 조성이 더해져야 하며 이를 위한 정부의 규제정비와 스마트 교통 인프라 확충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yks@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장우석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24일 '자동차산업 핵심경쟁력의 중심이동'연구자료를 통해 "세계 최고의 휴대폰 제조업체들이 스마트폰 트렌드에 대처하지 못해 추락한 전철을 자동차 사업에서 되풀이 하지 않으려면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연구자료에 따르면 자동차의 진화 트렌드는 스마트카, 자율주행 자동차 등 차량시스템의 빠른 지능화, 전기배터리와 모터로 구동되는 동력원의 전기화, 선진국의차량 연비규제 강화에 따른 차체의 경량화 등이다.
장 연구위원은 "이런 트렌드의 변화는 가치사슬 변화, 산업구조 재편으로 이어지며 완성차와 부품·소재 공급 기업에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가치사슬 변화를 보면 먼저 소재부문에서 철강 산업의 비중이 감소하고 비철금속과 합성수지 산업의 비중이 증가한다. 국내 자동차 산업 전체의 중간 투입액을 놓고 볼 때 철강 1차제품의 비중은 19990년 10.9%에서 2010년 7.2%로 감소한 반면에플라스틱제품은 4.5%에서 6.6%로 늘었다.
부품은 기계 장비와 엔진부품의 비중이 줄고 전자장비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세계 자동차 제조원가에서 전자부품, 소프트웨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35%, 2050년 50%로 확대할 전망이다.
완성차는 그린카, 스마트카 생산비중이 커지고 신규 진입자의 등장, 주도권 역전 가능성도 증가한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내연기관 승용차 판매량은 2020년을 기점으로 감소하기 시작해 2030년에는 전기차 등의 판매가 내연기관 엔진차를 추월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2003년 설립된 전기차 제조업체 테슬러 모터스,구글의 자율주행자동차 등은 기존 완성차 업체들을 위협하는 실정이다.
여기에 전기차의 보급확대는 정유업체의 사업모델 변화를 촉진하고 스마트카는지능형 교통시스템 구축을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장규모는2015년 1천435억엔에서 2025년 2천901억엔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장 연구위원은 "이런 가치사슬의 변화로 자동차 산업의 핵심부문은 기계부품 제작과 조립 중심에서 소프트웨어, IT제조, 첨단소재 중심으로의 변화를 낳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자동차 영역으로의 특허분쟁 확산, 자동차 운영체제(OS) 및 기술표준 선점을 위한 경쟁 격화, 핵심기술 획득을 위한 M&A활성화, 자동차 산업내 기업 관계의 수평적구조 전환, 인프라확충과 관련한 정부역할 중요성 증대 등이 예상되는 대목이다.
장 연구위원은 이러한 자동차 산업의 지각변동을 새로운 성장의 계기로 활용하려면 "고속성장이 예견되는 스마트카, 그린카 사업과 기술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연구개발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자동차 산업내 산학연 협력 활성화, 중소·벤처기업의 기술보호 강화 등 혁신 지향적 경쟁환경 조성이 더해져야 하며 이를 위한 정부의 규제정비와 스마트 교통 인프라 확충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yks@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