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핑 내용 등 반영하고 일부 내용 추가해서 종합.>>사외이사 아직도 '거수기'…비중 늘었지만 거부·보류 비율 저조이사회 내 위원회, 1천249건 중 4건만 보류·수정
주요 대기업 회장들의 잇따른 구속으로 재벌 총수일가가 이사로 등재한 회사 비율이 작년보다 떨어졌다.
이사회 내 사외이사 비중은 늘었지만 안건을 거부하거나 보류시키는 비율은 여전히 매우 낮아 '거수기' 역할만 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014년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대기업집단)의 지배구조 현황분석 결과를 27일 공개했다.
공개 대상은 47개 민간 대기업집단의 계열사 1천520개다.
대기업집단 소속회사 중 총수일가가 1명 이상 이사로 등재된 회사 비율은 22.8%로 작년(26.2%)보다 3.4%포인트 감소했다.
총수가 이사로 등재된 회사 비율은 8.5%로 작년(11%)보다 2.5%포인트 줄었다.
공정위는 이런 현상에 대해 "SK, 한화[000880], CJ[001040] 등 총수에 대한 형사소송, 총수일가 이사 등재 회사의 흡수합병에 따른 소멸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최태원 SK 회장, 김승연 한화 회장, 이재현 CJ 회장 등은 계열사 자금을 빼돌린혐의 등으로 법원에서 징역형을 선고받거나 구속된 상태다.
실제로 SK(9개사), GS·한화(각각 7개사), CJ(5개사) 등 대기업의 총수일가 이사등재 회사 수가 큰 폭으로 감소했다.
GS의 경우는 흡수·합병 등으로 인해 계열사가 줄어든 데 따른 것이다.
일반적으로 총수일가가 경영에 관여하면서도 이사 등재를 하지 않는 것은 권한은 행사하면서도 책임을 피하려는 행태로 비판받아 마땅하지만, 올해는 주요 대기업회장들의 구속수감이라는 특수성이 있다고 공정위는 설명했다.
기업별로는 부영(78.6%), 세아(66.7%), 현대(61.1%) 순으로 총수일가 이사등재회사 비율이 높고 이랜드(0%), 삼성(1.4%), 한화(2.0%) 순으로 낮았다.
총수일가 이사등재회사 비율은 대기업집단의 주력회사에서 훨씬 높게 나타나는경향을 보였다.
자산규모 2조원 이상인 143개 회사 중 44.8%(64개사)에 총수일가가 이사로 등재됐다.
삼성, SK, 현대중공업, 한화, 두산, 신세계, LS, 대림, 태광, 이랜드, 하이트진로, 한솔 등 12개 대기업집단의 총수는 계열사 이사로 전혀 등재돼 있지 않다.
지주회사 전환집단의 총수일가 이사등재 비율은 27.2%로 일반집단(19.8%)보다 7.4%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특히, 지주회사에 대한 총수일가, 총수의 이사등재 비율은 각각 87.5%, 62.5%로매우 높다.
공정위 관계자는 "지주회사는 총수일가의 이사등재 비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일반 대기업집단보다 출자구조가 단순하고 투명하다"며 지주회사 제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사회 내 사외이사 비중은 49.6%로 작년(48.7%)보다 0.9%포인트 증가했다.
'전체 이사의 25% 이상'인 법상 요구기준을 웃돌아서 선임된 사외이사 수는 82명으로 작년(67명)보다 15명 늘었다.
기업별로는 KT&G[033780](84.6%), 교보생명보험(80.0%), 한라[014790](63.2%)순으로 이사회 내 사외이사 비중이 높고 에쓰오일(27.3%), 이랜드(28.6%), 한솔(34.
5%) 순으로 낮다.
사외이사의 이사회 참석률은 93.0%로 작년(91.1%)보다 1.9%포인트 증가했다.
최근 1년간 대기업집단 상장사의 이사회 안건 5천718건 가운데 사외이사 반대등으로 원안대로 가결되지 않은 안건은 0.26%(15건)에 그쳤다.
이에 대해 공정위 관계자는 "사외이사가 '거수기' 역할을 했다는 비판을 받을수도 있지만, 이사회가 열리기 전 평소 회사의 의사 결정시 사외이사가 일정한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는 측면도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사외이사 등 내외부 견제장치가 튼튼하면 평소 경영 행태가 보다투명해진다"며 "부결된 안건이 많아야 사외이사가 제 역할을 한다고 보는 것은 무리"라고 덧붙였다.
이사회 내 사외이사 비중은 2010년 46.3%에서 올해 49.6%로 매년 꾸준히 증가했다.
올해 총수있는 집단의 사외이사 비중은 49.8%로 처음으로 총수없는 집단(47.9%)을 웃돌았다.
이사회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구성된 '이사회 내 위원회'는 소폭 줄었다.
'사외이사 후보 추천 위원회'의 경우 47개 대기업집단 소속 238개 상장사 중 127개사가 설치해 작년보다 1개사 감소했다.
'감사위원회'는 238개 상장사 중 165개사가 설치해 작년보다 3개사 감소, '보상위원회'는 40개사가 설치해 작년보다 6개사 감소한 반면 '내부거래위원회'는 55개사가 설치해 작년보다 10개사 증가했다.
올해 2월 정부가 총수일가 사익편취 규율을 마련한 것에 기업이 부응해 내부거래위원회를 늘린 것으로 공정위는 해석했다.
4개 위원회에 상정된 안건 1천249건 중 원안대로 통과되지 않은 안건은 4건(보류·수정)에 불과해 사실상 유명무실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소수주주의 권한 행사 제도를 도입한 회사는 감소했다.
238개 상장사 중 집중·서면·전자투표제 가운데 하나라도 도입한 회사는 31개사로 작년(34개사)보다 3개사 줄었다.
소수주주권을 행사한 횟수는 18건으로 2012년 3건, 작년 11건보다는 증가했지만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공정위 관계자는 "대기업집단 지배구조를 지속적으로 분석해 시장감시 기능을강화하겠다"고 말했다.
ksw08@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주요 대기업 회장들의 잇따른 구속으로 재벌 총수일가가 이사로 등재한 회사 비율이 작년보다 떨어졌다.
이사회 내 사외이사 비중은 늘었지만 안건을 거부하거나 보류시키는 비율은 여전히 매우 낮아 '거수기' 역할만 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014년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대기업집단)의 지배구조 현황분석 결과를 27일 공개했다.
공개 대상은 47개 민간 대기업집단의 계열사 1천520개다.
대기업집단 소속회사 중 총수일가가 1명 이상 이사로 등재된 회사 비율은 22.8%로 작년(26.2%)보다 3.4%포인트 감소했다.
총수가 이사로 등재된 회사 비율은 8.5%로 작년(11%)보다 2.5%포인트 줄었다.
공정위는 이런 현상에 대해 "SK, 한화[000880], CJ[001040] 등 총수에 대한 형사소송, 총수일가 이사 등재 회사의 흡수합병에 따른 소멸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최태원 SK 회장, 김승연 한화 회장, 이재현 CJ 회장 등은 계열사 자금을 빼돌린혐의 등으로 법원에서 징역형을 선고받거나 구속된 상태다.
실제로 SK(9개사), GS·한화(각각 7개사), CJ(5개사) 등 대기업의 총수일가 이사등재 회사 수가 큰 폭으로 감소했다.
GS의 경우는 흡수·합병 등으로 인해 계열사가 줄어든 데 따른 것이다.
일반적으로 총수일가가 경영에 관여하면서도 이사 등재를 하지 않는 것은 권한은 행사하면서도 책임을 피하려는 행태로 비판받아 마땅하지만, 올해는 주요 대기업회장들의 구속수감이라는 특수성이 있다고 공정위는 설명했다.
기업별로는 부영(78.6%), 세아(66.7%), 현대(61.1%) 순으로 총수일가 이사등재회사 비율이 높고 이랜드(0%), 삼성(1.4%), 한화(2.0%) 순으로 낮았다.
총수일가 이사등재회사 비율은 대기업집단의 주력회사에서 훨씬 높게 나타나는경향을 보였다.
자산규모 2조원 이상인 143개 회사 중 44.8%(64개사)에 총수일가가 이사로 등재됐다.
삼성, SK, 현대중공업, 한화, 두산, 신세계, LS, 대림, 태광, 이랜드, 하이트진로, 한솔 등 12개 대기업집단의 총수는 계열사 이사로 전혀 등재돼 있지 않다.
지주회사 전환집단의 총수일가 이사등재 비율은 27.2%로 일반집단(19.8%)보다 7.4%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특히, 지주회사에 대한 총수일가, 총수의 이사등재 비율은 각각 87.5%, 62.5%로매우 높다.
공정위 관계자는 "지주회사는 총수일가의 이사등재 비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일반 대기업집단보다 출자구조가 단순하고 투명하다"며 지주회사 제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사회 내 사외이사 비중은 49.6%로 작년(48.7%)보다 0.9%포인트 증가했다.
'전체 이사의 25% 이상'인 법상 요구기준을 웃돌아서 선임된 사외이사 수는 82명으로 작년(67명)보다 15명 늘었다.
기업별로는 KT&G[033780](84.6%), 교보생명보험(80.0%), 한라[014790](63.2%)순으로 이사회 내 사외이사 비중이 높고 에쓰오일(27.3%), 이랜드(28.6%), 한솔(34.
5%) 순으로 낮다.
사외이사의 이사회 참석률은 93.0%로 작년(91.1%)보다 1.9%포인트 증가했다.
최근 1년간 대기업집단 상장사의 이사회 안건 5천718건 가운데 사외이사 반대등으로 원안대로 가결되지 않은 안건은 0.26%(15건)에 그쳤다.
이에 대해 공정위 관계자는 "사외이사가 '거수기' 역할을 했다는 비판을 받을수도 있지만, 이사회가 열리기 전 평소 회사의 의사 결정시 사외이사가 일정한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는 측면도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사외이사 등 내외부 견제장치가 튼튼하면 평소 경영 행태가 보다투명해진다"며 "부결된 안건이 많아야 사외이사가 제 역할을 한다고 보는 것은 무리"라고 덧붙였다.
이사회 내 사외이사 비중은 2010년 46.3%에서 올해 49.6%로 매년 꾸준히 증가했다.
올해 총수있는 집단의 사외이사 비중은 49.8%로 처음으로 총수없는 집단(47.9%)을 웃돌았다.
이사회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구성된 '이사회 내 위원회'는 소폭 줄었다.
'사외이사 후보 추천 위원회'의 경우 47개 대기업집단 소속 238개 상장사 중 127개사가 설치해 작년보다 1개사 감소했다.
'감사위원회'는 238개 상장사 중 165개사가 설치해 작년보다 3개사 감소, '보상위원회'는 40개사가 설치해 작년보다 6개사 감소한 반면 '내부거래위원회'는 55개사가 설치해 작년보다 10개사 증가했다.
올해 2월 정부가 총수일가 사익편취 규율을 마련한 것에 기업이 부응해 내부거래위원회를 늘린 것으로 공정위는 해석했다.
4개 위원회에 상정된 안건 1천249건 중 원안대로 통과되지 않은 안건은 4건(보류·수정)에 불과해 사실상 유명무실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소수주주의 권한 행사 제도를 도입한 회사는 감소했다.
238개 상장사 중 집중·서면·전자투표제 가운데 하나라도 도입한 회사는 31개사로 작년(34개사)보다 3개사 줄었다.
소수주주권을 행사한 횟수는 18건으로 2012년 3건, 작년 11건보다는 증가했지만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공정위 관계자는 "대기업집단 지배구조를 지속적으로 분석해 시장감시 기능을강화하겠다"고 말했다.
ksw08@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