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인적네트워크를 통한 사익추구"
금융권에 정부 고위 관료 출신의'관피아'가 사라지면서 생긴 빈자리를 학연·지연·정치권 인맥의 '정피아'가 차지하면서 잡음이 커지고 있다.
이른바 '신(新) 관치 금융' 논란이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명박(MB) 정부 때 금융권 수장 자리가 출신 대학에 따른'학연 사조직'과 정치권에 의해 좌우되는 현상이 현 정권에서도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정권에 따라 고려대(이명박 전 대통령의 모교)와 서강대(박근혜 대통령의 모교)출신이 금융사나 금융기관 최고경영자급의 요직을 차지하는 식이다.
최근 대우증권 사장에 '서강금융인회'(서금회) 멤버인 홍성국 사장이 낙점됐으며 서금회 멤버인 이광구 우리은행 부행장도 차기 은행장으로 내정됐다.
지난 3월에는 서강대 출신으로 금융권의 대표적인 친박 인사로 알려진 이덕훈전 우리은행장이 수출입은행장에 취임했다. 이 행장은 서강바른금융인포럼, 서금회등에서 활동하는 서강대 금융인맥의 핵심 인사다.
홍기택 산은금융지주 회장과 정연대 코스콤 사장은 서강대 출신에다가 박 대통령을 대선 후보 시절에 정치적으로 지지했던 대표적인 정피아 인사로 분류된다.
앞서 MB 정부가 들어서자 금융권에는 어윤대 전 KB금융 회장, 김승유 전 하나금융 회장, 이팔성 전 우리금융 회장, 서진원 신한은행장 등 고대 출신의 세가 맹위를떨쳤다.
이들 중 서 행장을 제외한 3명과 이 전 대통령의 핵심인맥인 강만수 전 산은금융지주 회장은 Ɗ대 천왕'이라고 불리울 정도였다.
이들은 이 전 대통령의 지지모임으로 알려진 '고대경제인회' 소속이다. 어 전회장, 이 전 회장, 서 행장은 각각 고대경제인회 고문과 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고대 출신 금융인들이 세를 넓히자 연세대 출신 금융인들도 박종원 전 코리안리 사장을 초대 회장으로 한 '연세금융인회'(연금회)를 출범시켰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권선주 기업은행장, 김한조 외환은행장, 임종룡 농협금융 회장 등이 연세대 출신이다.
이런 현상은 금융인들 스스로 학연·지연·정치권 인맥 등을 동원해 자신의 인사에 영향을 끼쳐보려는 의도가 작용한 결과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시중은행의 부행장급 인사에서도 이미 정치권 줄대기가 기승을 부리는 것으로전해졌다.
우리은행 8명, 하나은행 6명, 외환은행 4명, 신한은행 3명, KB국민은행 1명 등주요 시중은행의 부행장급 임원의 임기가 올 연말에 끝난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윗물이 맑지 않은데 아랫물이 맑을 수 있나"면서 "금융인들의 자정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상조 한성대 교수는 "MB 정권 때부터 현 정권에 이르기까지 금융권 수장 자리를 정권의 전리품으로 여기는 저급한 관치가 판을 치고 있다"면서 "정권 실세와 비슷한 배경을 가진 출신과 인맥들이 오로지 인적 네트워크를 통한 사익 추구에 혈안이 되어 있다"고 비판했다.
세월호 사태로 정부 고위 관료 출신인 관피아가 사라지자, 정치 실세가 비금융전문가를 금융권의 요직에 앉히는 새로운 관치 금융의 형태는 이전보다 더 큰 문제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조남희 금융소비자원 대표는 "이를 해결하지 못하면 다음 대선 때는 전 금융권이 대선 캠프에 줄대기를 하려는 볼썽사나운 행태가 벌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redfla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금융권에 정부 고위 관료 출신의'관피아'가 사라지면서 생긴 빈자리를 학연·지연·정치권 인맥의 '정피아'가 차지하면서 잡음이 커지고 있다.
이른바 '신(新) 관치 금융' 논란이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명박(MB) 정부 때 금융권 수장 자리가 출신 대학에 따른'학연 사조직'과 정치권에 의해 좌우되는 현상이 현 정권에서도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정권에 따라 고려대(이명박 전 대통령의 모교)와 서강대(박근혜 대통령의 모교)출신이 금융사나 금융기관 최고경영자급의 요직을 차지하는 식이다.
최근 대우증권 사장에 '서강금융인회'(서금회) 멤버인 홍성국 사장이 낙점됐으며 서금회 멤버인 이광구 우리은행 부행장도 차기 은행장으로 내정됐다.
지난 3월에는 서강대 출신으로 금융권의 대표적인 친박 인사로 알려진 이덕훈전 우리은행장이 수출입은행장에 취임했다. 이 행장은 서강바른금융인포럼, 서금회등에서 활동하는 서강대 금융인맥의 핵심 인사다.
홍기택 산은금융지주 회장과 정연대 코스콤 사장은 서강대 출신에다가 박 대통령을 대선 후보 시절에 정치적으로 지지했던 대표적인 정피아 인사로 분류된다.
앞서 MB 정부가 들어서자 금융권에는 어윤대 전 KB금융 회장, 김승유 전 하나금융 회장, 이팔성 전 우리금융 회장, 서진원 신한은행장 등 고대 출신의 세가 맹위를떨쳤다.
이들 중 서 행장을 제외한 3명과 이 전 대통령의 핵심인맥인 강만수 전 산은금융지주 회장은 Ɗ대 천왕'이라고 불리울 정도였다.
이들은 이 전 대통령의 지지모임으로 알려진 '고대경제인회' 소속이다. 어 전회장, 이 전 회장, 서 행장은 각각 고대경제인회 고문과 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고대 출신 금융인들이 세를 넓히자 연세대 출신 금융인들도 박종원 전 코리안리 사장을 초대 회장으로 한 '연세금융인회'(연금회)를 출범시켰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권선주 기업은행장, 김한조 외환은행장, 임종룡 농협금융 회장 등이 연세대 출신이다.
이런 현상은 금융인들 스스로 학연·지연·정치권 인맥 등을 동원해 자신의 인사에 영향을 끼쳐보려는 의도가 작용한 결과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시중은행의 부행장급 인사에서도 이미 정치권 줄대기가 기승을 부리는 것으로전해졌다.
우리은행 8명, 하나은행 6명, 외환은행 4명, 신한은행 3명, KB국민은행 1명 등주요 시중은행의 부행장급 임원의 임기가 올 연말에 끝난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윗물이 맑지 않은데 아랫물이 맑을 수 있나"면서 "금융인들의 자정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상조 한성대 교수는 "MB 정권 때부터 현 정권에 이르기까지 금융권 수장 자리를 정권의 전리품으로 여기는 저급한 관치가 판을 치고 있다"면서 "정권 실세와 비슷한 배경을 가진 출신과 인맥들이 오로지 인적 네트워크를 통한 사익 추구에 혈안이 되어 있다"고 비판했다.
세월호 사태로 정부 고위 관료 출신인 관피아가 사라지자, 정치 실세가 비금융전문가를 금융권의 요직에 앉히는 새로운 관치 금융의 형태는 이전보다 더 큰 문제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조남희 금융소비자원 대표는 "이를 해결하지 못하면 다음 대선 때는 전 금융권이 대선 캠프에 줄대기를 하려는 볼썽사나운 행태가 벌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redfla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