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硏, 대학 130여곳 재학생 2천300명 경제전망·의식조사
최근 '대한항공 회항 사건'으로 기업의 사회적책임이 강조되는 가운데 대학생들도 이에 상당한 공감대를 가지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5일 지속가능연구소가 전국 130여개 대학 재학생(휴학생·복학생 포함) 2천361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친환경제품이나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 제품이라면 더 비싸도 살 용의가 있다'고 답한 비율이 72.9%(1천721명)에 달했다.
이계안 지속가능연구소 이사장은 "유럽이나 북미 등 중상위권 국가에서는 여성과 노인을 중심으로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 제품에 대한 소비 운동이 일어나고있다"면서 "이번 조사를 통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한국 대학생들의 공감대가예상 외로 넓다는 점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응답자의 78.7%(1천858명)는 '소득분배는 개인적 성과에 따라 차등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경제활동의 가장 기본적 가치인 공정한 소득분배의 기준과 관련한 요즘 대학생의 인식이 반영된 결과다.
그러나 대학생들은 사회 전반에 시장기능과 경쟁원리가 관철되는 것에 대해서는부정적인 견해가 더 많았다.
'사회 전반에 걸쳐 모든 부문을 최대한 시장기능에 맡겨야 한다'는 설문 항목에아니라고 답한 비율은 45.8%로, 그렇다고 답한 비율(26.1%)보다 월등히 높았다.
또 '모든 분야에 최대한 경쟁원리를 도입해 국가발전을 이끌어야 한다'는 항목에 대해서도 아니라는 응답이 47.0%로 집계됐으며, '모든 부문에 정부가 적극적으로개입해야 한다'는 항목에 대해서도 아니라는 응답률이 54.4%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들이 극단적인 시장만능주의와 정부개입을 모두 경계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보편적 복지는 실현되어야 한다'(63.2%), '경제성장·환경보호·양극화해소를위해 정부재정을 늘려야 한다면 세금을 더 낼 용의가 있다'(47.2%) 등 지난 몇 년간사회적 쟁점인 보편적 복지와 조세부담에 대해서는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 이사장은 "보편적 복지와 조세 부담에 대한 긍정성이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은 시민의 권리와 책임에 대한 균형감을 보여준 것"이라고 말했다.
대학생들은 10년 뒤 한국의 국가경제력 전망에 대해 6∼9위권(31.8%), 11∼15위권(20.1%), 1∼5위권(11.9%), 16∼20위권(11.2%) 순으로 내다봤다. 한국의 10년 뒤국가경제력에 대한 대학생들의 평균적 전망은 세계 12위였다.
redfla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최근 '대한항공 회항 사건'으로 기업의 사회적책임이 강조되는 가운데 대학생들도 이에 상당한 공감대를 가지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5일 지속가능연구소가 전국 130여개 대학 재학생(휴학생·복학생 포함) 2천361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친환경제품이나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 제품이라면 더 비싸도 살 용의가 있다'고 답한 비율이 72.9%(1천721명)에 달했다.
이계안 지속가능연구소 이사장은 "유럽이나 북미 등 중상위권 국가에서는 여성과 노인을 중심으로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 제품에 대한 소비 운동이 일어나고있다"면서 "이번 조사를 통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한국 대학생들의 공감대가예상 외로 넓다는 점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응답자의 78.7%(1천858명)는 '소득분배는 개인적 성과에 따라 차등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경제활동의 가장 기본적 가치인 공정한 소득분배의 기준과 관련한 요즘 대학생의 인식이 반영된 결과다.
그러나 대학생들은 사회 전반에 시장기능과 경쟁원리가 관철되는 것에 대해서는부정적인 견해가 더 많았다.
'사회 전반에 걸쳐 모든 부문을 최대한 시장기능에 맡겨야 한다'는 설문 항목에아니라고 답한 비율은 45.8%로, 그렇다고 답한 비율(26.1%)보다 월등히 높았다.
또 '모든 분야에 최대한 경쟁원리를 도입해 국가발전을 이끌어야 한다'는 항목에 대해서도 아니라는 응답이 47.0%로 집계됐으며, '모든 부문에 정부가 적극적으로개입해야 한다'는 항목에 대해서도 아니라는 응답률이 54.4%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들이 극단적인 시장만능주의와 정부개입을 모두 경계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보편적 복지는 실현되어야 한다'(63.2%), '경제성장·환경보호·양극화해소를위해 정부재정을 늘려야 한다면 세금을 더 낼 용의가 있다'(47.2%) 등 지난 몇 년간사회적 쟁점인 보편적 복지와 조세부담에 대해서는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 이사장은 "보편적 복지와 조세 부담에 대한 긍정성이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은 시민의 권리와 책임에 대한 균형감을 보여준 것"이라고 말했다.
대학생들은 10년 뒤 한국의 국가경제력 전망에 대해 6∼9위권(31.8%), 11∼15위권(20.1%), 1∼5위권(11.9%), 16∼20위권(11.2%) 순으로 내다봤다. 한국의 10년 뒤국가경제력에 대한 대학생들의 평균적 전망은 세계 12위였다.
redfla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