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총재의 통화정책 방향에 대한 보고 내용 등 추가.>>가계신용 1천90조 육박…4분기 은행 주담대 역대 최대폭으로 늘어한은, 국회 기재위 업무보고
1년 새 은행과 비은행권이 가계에 빌려준 돈이64조원 넘게 늘었다. 이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이 80%를 차지했다.
23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제출한 업무현황 자료에 따르면 시중은행과 저축은행·상호신용금고 등 비은행권의 가계대출은 지난해 64조3천억원 늘었다. 은행권 가계대출이 37조3천억원, 비은행권은 27조원 증가했다.
그러나 여기에는 결제 전 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 보험사·대부업체·공적금융기관 등의 가계대출은 빠져 있다.
가계빚 수준을 보여주는 대표적 통계인 '가계신용'에 들어가는 카드사 판매신용과 기타 금융기관 대출을 모두 합치면, 작년 말 가계신용은 1조90조원 전후까지 늘었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9월 말 가계신용은 1조60조3천457억원이었다.
가계신용 연간 증가액이 2012년(47조6천억원)은 물론, 2013년(57조6천억원)도웃돌 것이 확실시되는 것이다.
올해 추계 인구가 5천62만명인 점을 고려하면 국민 1인당 2천150만원 정도의 빚을 진 셈이다.
지난해 가계빚 증가세는 주택담보대출이 주도했다.
작년 8월부터 시행된 주택담보인정비율(LTV), 총부채상환비율(DTI) 등 부동산금융 규제가 완화와 8월과 10월 두 차례에 걸친 기준금리 인하로 대출 수요가 늘어난결과다.
은행권 주담대 규모는 지난해 1분기 1조2천억원 늘었으나 2분기 5조5천억원, 3분기 10조6천억원으로 급격히 증가했다.
작년 4분기에는 은행권 전체 가계대출이 20조4천억원 늘었는데, 이 중 주담대가18조1천억원(88.7%)을 차지했다. 한 분기 만에 은행 주담대가 이렇게 큰 폭으로 증가한 적은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5년 4분기 이후 없었다.
직전 최고치는 부동산 폭등기였던 2006년 4분기의 12조3천억원이다.
비은행권 주담대 증가액은 지난해 1분기 2조6천억원, 2분기 2조8천억원, 3분기1조5천억원 등 눈에 띄는 증가세를 보이지 않다가 4분기 8조1천억원 급증했다.
한은은 이번 업무현황 자료에서 "올해 1월 가계대출 증가 규모는 전월보다 축소됐으나 (1월이) 비수기인 점을 고려하면 증가세가 이어지는 것으로 판단한다"며 "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작년 3분기 0.7%, 4분기 0.6% 등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그러나 한은은 금융안정에 유의하고자 지난해 11월부터 가계부채 동향을 상시점검하는 '가계부채 점검반'을 운영하고 있으며 가계부채 상황을 정밀하게 파악하기위한 데이터베이스도 구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시스템의 잠재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파악하고자 '시스템적 리스크 평가모형'(SAMP)의 분석 범위도 비은행권까지 확장하고 스트레스 테스트를 둘러싼 감독당국과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협의체도 최근 신설했다.
한은은 오는 3월 중 증권사 애널리스트, 채권 운용자 등 금융시장 참가자와 학계 인사들이 참여하는 '통화정책 커뮤니케이션 자문회의'를 만드는 등 시장과의 소통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은은 현재 무역결제 지원용으로 활용하는 한·중간 통화스와프 자금을 작년 12월 개설된 원·위안 직거래 시장의 유동성 부족 때에도 쓸 수 있도록 위안화 유동성 지원제도도 도입할 방침이다.
아울러 올해 기념주화는 제7차 세계 물포럼(3월), 광복 70년(8월)과 경주역사유적지구, 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 조선왕릉 등 한국의 문화유산을 대상으로발행할 계획이라고 보고했다.
이주열 총재는 이날 국회 보고 때 "앞으로도 기준금리는 성장세 회복을 지원할수 있도록 완화적 정책기조를 유지하되 금융안정에도 유의하는 방향으로 운용해 나갈 방침"이라고 지난 17일 기준금리 결정 직후 제시한 향후 정책 운용 기조를 재확인했다.
지난 8월과 10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내리고서 연 2.0%로 유지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인하 효과를 지켜볼 필요가 있는 점, 가계부채의 큰폭 증가 등에 비춰금융안정 리스크에 더욱 유의할 필요가 있는 점 등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미국의 통화정책 정상화나 신흥시장국의 금융불안 등에 따른 대외리스크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한 모니터링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chopark@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1년 새 은행과 비은행권이 가계에 빌려준 돈이64조원 넘게 늘었다. 이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이 80%를 차지했다.
23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제출한 업무현황 자료에 따르면 시중은행과 저축은행·상호신용금고 등 비은행권의 가계대출은 지난해 64조3천억원 늘었다. 은행권 가계대출이 37조3천억원, 비은행권은 27조원 증가했다.
그러나 여기에는 결제 전 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 보험사·대부업체·공적금융기관 등의 가계대출은 빠져 있다.
가계빚 수준을 보여주는 대표적 통계인 '가계신용'에 들어가는 카드사 판매신용과 기타 금융기관 대출을 모두 합치면, 작년 말 가계신용은 1조90조원 전후까지 늘었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9월 말 가계신용은 1조60조3천457억원이었다.
가계신용 연간 증가액이 2012년(47조6천억원)은 물론, 2013년(57조6천억원)도웃돌 것이 확실시되는 것이다.
올해 추계 인구가 5천62만명인 점을 고려하면 국민 1인당 2천150만원 정도의 빚을 진 셈이다.
지난해 가계빚 증가세는 주택담보대출이 주도했다.
작년 8월부터 시행된 주택담보인정비율(LTV), 총부채상환비율(DTI) 등 부동산금융 규제가 완화와 8월과 10월 두 차례에 걸친 기준금리 인하로 대출 수요가 늘어난결과다.
은행권 주담대 규모는 지난해 1분기 1조2천억원 늘었으나 2분기 5조5천억원, 3분기 10조6천억원으로 급격히 증가했다.
작년 4분기에는 은행권 전체 가계대출이 20조4천억원 늘었는데, 이 중 주담대가18조1천억원(88.7%)을 차지했다. 한 분기 만에 은행 주담대가 이렇게 큰 폭으로 증가한 적은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5년 4분기 이후 없었다.
직전 최고치는 부동산 폭등기였던 2006년 4분기의 12조3천억원이다.
비은행권 주담대 증가액은 지난해 1분기 2조6천억원, 2분기 2조8천억원, 3분기1조5천억원 등 눈에 띄는 증가세를 보이지 않다가 4분기 8조1천억원 급증했다.
한은은 이번 업무현황 자료에서 "올해 1월 가계대출 증가 규모는 전월보다 축소됐으나 (1월이) 비수기인 점을 고려하면 증가세가 이어지는 것으로 판단한다"며 "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작년 3분기 0.7%, 4분기 0.6% 등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그러나 한은은 금융안정에 유의하고자 지난해 11월부터 가계부채 동향을 상시점검하는 '가계부채 점검반'을 운영하고 있으며 가계부채 상황을 정밀하게 파악하기위한 데이터베이스도 구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시스템의 잠재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파악하고자 '시스템적 리스크 평가모형'(SAMP)의 분석 범위도 비은행권까지 확장하고 스트레스 테스트를 둘러싼 감독당국과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협의체도 최근 신설했다.
한은은 오는 3월 중 증권사 애널리스트, 채권 운용자 등 금융시장 참가자와 학계 인사들이 참여하는 '통화정책 커뮤니케이션 자문회의'를 만드는 등 시장과의 소통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은은 현재 무역결제 지원용으로 활용하는 한·중간 통화스와프 자금을 작년 12월 개설된 원·위안 직거래 시장의 유동성 부족 때에도 쓸 수 있도록 위안화 유동성 지원제도도 도입할 방침이다.
아울러 올해 기념주화는 제7차 세계 물포럼(3월), 광복 70년(8월)과 경주역사유적지구, 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 조선왕릉 등 한국의 문화유산을 대상으로발행할 계획이라고 보고했다.
이주열 총재는 이날 국회 보고 때 "앞으로도 기준금리는 성장세 회복을 지원할수 있도록 완화적 정책기조를 유지하되 금융안정에도 유의하는 방향으로 운용해 나갈 방침"이라고 지난 17일 기준금리 결정 직후 제시한 향후 정책 운용 기조를 재확인했다.
지난 8월과 10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내리고서 연 2.0%로 유지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인하 효과를 지켜볼 필요가 있는 점, 가계부채의 큰폭 증가 등에 비춰금융안정 리스크에 더욱 유의할 필요가 있는 점 등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미국의 통화정책 정상화나 신흥시장국의 금융불안 등에 따른 대외리스크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한 모니터링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chopark@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