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최보다는 좋은 성적 올리는 게 효과적"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악화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국제 스포츠대회 개최가 경제성장률에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국책 연구기관의 보고서가 나왔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스포츠행사 유치를 준비하면서 개최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크게 부풀려서 발표하는 행태를 꼬집은 것이다.
5일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이 발간한 '국제 스포츠행사 개최 및 참가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월드컵 개최 여부나 참가 성적은 국내총생산(GDP) 성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0∼2014년 월드컵에 한 번 이상 참가한 26개국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다.
연구 결과 경제성장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는 전년도 성장률, 세계경제성장률, 환율 등 '경제 변수'였지 월드컵이 아니었다.
다만, 월드컵 성적은 GDP를 구성하는 세부 요소인 소비, 수출, 수입 등에는 일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8강에 진출하면 소비에 긍정적 영향이 있었지만 4강, 결승으로 이어져도 추가효과는 크지 않았다.
월드컵에 참가하는 것 자체만으로 수출에는 일부 긍정적 효과가 있었으며 4강에진출하면 이 효과가 더 커졌다. 수입의 경우 8강에 진출했을 때 증가율이 높아졌다.
소비 진작을 위해서는 월드컵을 개최하는 것보다는 경기에 참가해 8강 이상의성적을 올리는 게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하는 결과다.
최승문 조세연 부연구위원은 "월드컵을 열어놓고 좋은 성적을 내지 못한다면 남들에게 파티 장소를 제공해주는 꼴이 될 수 있다"며 "앞으로 국제 스포츠행사를 개최하려고 할 때에는 경제적 효과를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판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정부와 지자체는 국제 스포츠행사 유치 단계에서 비용보다 수익이 훨씬크다는 장밋빛 전망을 내놓지만, 개최 이후 경제적 효과를 분석해보면 예상과 다른경우가 많다.
수천억원을 들여 지은 경기장을 대회 이후 활용할 방안을 마련하지 못해 경기장유지비로 매년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 일도 반복되고 있다.
지난해 9∼10월에 열린 인천 아시안게임에는 공적자금 2조2천56억원이 투입돼경기장 17곳이 신축되고 12곳은 보수됐다. 아시안게임을 치르려고 인천시가 발행한지방채(빚)가 1조2천500억원에 달한다.
이런 일이 우리나라에서만 있는 것은 아니다.
브라질은 2014년 월드컵 개최를 위해 12조원의 정부 예산을 투입, 월드컵 우승과 경제 회복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노렸지만 준결승전에서 독일에 7대 1로 대패하고 3·4위전마저 내줬다.
브라질은 월드컵으로 총 53조원의 경제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봤으나 실제 효과는 기대치에 크게 못 미친다는 평가가 많다.
그리스의 경우 2004년 아테네 올림픽으로 기록한 16조원의 적자가 이후 재정위기의 한 원인이 됐다는 분석도 있다.
최 연구위원은 "스포츠산업 육성의 가장 효율적인 방안이 국제행사 개최는 아닐것"이라며 "국제행사를 유치할 비용으로 유소년 유망주를 육성하고 국내 리그를 활성화하는 것이 일회성 대회 유치보다 경제적 효과가 더 클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나라에선 올해 광주하계유니버시아드와 문경세계군인체육대회가,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 이어 2019년에는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가 열린다.
chopark@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악화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국제 스포츠대회 개최가 경제성장률에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국책 연구기관의 보고서가 나왔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스포츠행사 유치를 준비하면서 개최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크게 부풀려서 발표하는 행태를 꼬집은 것이다.
5일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이 발간한 '국제 스포츠행사 개최 및 참가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월드컵 개최 여부나 참가 성적은 국내총생산(GDP) 성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0∼2014년 월드컵에 한 번 이상 참가한 26개국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다.
연구 결과 경제성장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는 전년도 성장률, 세계경제성장률, 환율 등 '경제 변수'였지 월드컵이 아니었다.
다만, 월드컵 성적은 GDP를 구성하는 세부 요소인 소비, 수출, 수입 등에는 일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8강에 진출하면 소비에 긍정적 영향이 있었지만 4강, 결승으로 이어져도 추가효과는 크지 않았다.
월드컵에 참가하는 것 자체만으로 수출에는 일부 긍정적 효과가 있었으며 4강에진출하면 이 효과가 더 커졌다. 수입의 경우 8강에 진출했을 때 증가율이 높아졌다.
소비 진작을 위해서는 월드컵을 개최하는 것보다는 경기에 참가해 8강 이상의성적을 올리는 게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하는 결과다.
최승문 조세연 부연구위원은 "월드컵을 열어놓고 좋은 성적을 내지 못한다면 남들에게 파티 장소를 제공해주는 꼴이 될 수 있다"며 "앞으로 국제 스포츠행사를 개최하려고 할 때에는 경제적 효과를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판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정부와 지자체는 국제 스포츠행사 유치 단계에서 비용보다 수익이 훨씬크다는 장밋빛 전망을 내놓지만, 개최 이후 경제적 효과를 분석해보면 예상과 다른경우가 많다.
수천억원을 들여 지은 경기장을 대회 이후 활용할 방안을 마련하지 못해 경기장유지비로 매년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 일도 반복되고 있다.
지난해 9∼10월에 열린 인천 아시안게임에는 공적자금 2조2천56억원이 투입돼경기장 17곳이 신축되고 12곳은 보수됐다. 아시안게임을 치르려고 인천시가 발행한지방채(빚)가 1조2천500억원에 달한다.
이런 일이 우리나라에서만 있는 것은 아니다.
브라질은 2014년 월드컵 개최를 위해 12조원의 정부 예산을 투입, 월드컵 우승과 경제 회복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노렸지만 준결승전에서 독일에 7대 1로 대패하고 3·4위전마저 내줬다.
브라질은 월드컵으로 총 53조원의 경제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봤으나 실제 효과는 기대치에 크게 못 미친다는 평가가 많다.
그리스의 경우 2004년 아테네 올림픽으로 기록한 16조원의 적자가 이후 재정위기의 한 원인이 됐다는 분석도 있다.
최 연구위원은 "스포츠산업 육성의 가장 효율적인 방안이 국제행사 개최는 아닐것"이라며 "국제행사를 유치할 비용으로 유소년 유망주를 육성하고 국내 리그를 활성화하는 것이 일회성 대회 유치보다 경제적 효과가 더 클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나라에선 올해 광주하계유니버시아드와 문경세계군인체육대회가,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 이어 2019년에는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가 열린다.
chopark@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