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담보대출이 증가세 견인…수도권에서만 6조 늘어
올 4월에 가계빚 증가액이 월간 기준 처음으로10조원을 넘어섰다.
9일 한국은행이 공개한 Ɗ월 중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통계를 보면 4월 말 현재 예금은행과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저축은행·신용협동조합·새마을금고·상호금융등)의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765조2천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10조1천억원 증가했다.
월별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증가액이 두자릿수를 기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직전 최대 증가액은 부동산금융규제(LTV·DTI)를 완화한 직후인 작년 10월의 7조8천억원이었다.
올해 4월 증가액은 이보다도 2조3천억원 많았다.
대출종류별로는 주택담보대출이 8조원으로 증가액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기타대출은 2조1천억원 늘었다.
취급기관별로는 은행대출이 8조7천억원으로 증가액의 90% 가까이 차지했다. 비은행예금취급기관 대출 증가액은 1조4천억원으로, 작년 4월(2조2천억원)보다 적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4월 한 달간 6조원이 늘어 전체 가계대출 증가세를 이끌었다.
특히 서울은 작년 4월 가계대출 잔액의 증감이 없었지만 올해 4월에는 3조4천억원이나 늘었다.
가계대출은 금융회사들이 가계에 빌려준 자금의 규모다.
여기에 결제 전 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 보험사·대부업체·공적 금융기관 등의 대출까지 합친 가계신용은 지난 3월 말 현재 1천99조3천억원이었다.
이에 따라 가계신용은 현재 1천100조원을 넘어섰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은행 신병곤 금융통계팀장은 "주택경기 활성화로 4월 주택거래량이 늘면서주택담보대출이 전체 가계대출 증가를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전세난에 지친 주택 실수요자가 은행 돈을 빌려 집을 사면서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대출이 크게 늘었다는 얘기다.
지난 3월 한은이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치인 연 1.75%로 내린 데 이어 안심전환대출(연 2.63%) 출시 여파로 4월 들어 시중은행 가계대출 금리가 연 2%대로 내려앉은 것도 대출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가계부채 문제에 대한 우려가 끊이지 않고 있지만 가계대출 증가속도는 점점 빨라지고 있다.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증가액은 작년 1분기 3조4천억원에서 2분기 14조7천억원, 3분기 17조7천억원, 4분기 22조9천억원으로 증가 폭이 커졌다.
올해 1분기는 비수기라는 계절적 요인이 작용해 증가액이 9조3천억원으로 줄었지만, 1분기만 놓고 봤을 때는 역대 최고 증가액을 기록했다.
정부는 가계부채 증가속도에 대해 "다소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증가속도가 빠르지만 금융체계 전반을 위협할 정도는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나 과도한 가계부채가 우리 경제의 활력을 억누르고 최악의 경우 경제 전반의 위기로 퍼져 나갈 잠재적 위험성을 가졌다는 데에는 이견이 없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달 금통위 직후 기자회견에서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한 가계대출 증가세가 쉽게 꺾일 것 같지 않아 보인다"며 "감독 당국 및 기획재정부와 함께 가계부채 해결을 위해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pan@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올 4월에 가계빚 증가액이 월간 기준 처음으로10조원을 넘어섰다.
9일 한국은행이 공개한 Ɗ월 중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통계를 보면 4월 말 현재 예금은행과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저축은행·신용협동조합·새마을금고·상호금융등)의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765조2천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10조1천억원 증가했다.
월별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증가액이 두자릿수를 기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직전 최대 증가액은 부동산금융규제(LTV·DTI)를 완화한 직후인 작년 10월의 7조8천억원이었다.
올해 4월 증가액은 이보다도 2조3천억원 많았다.
대출종류별로는 주택담보대출이 8조원으로 증가액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기타대출은 2조1천억원 늘었다.
취급기관별로는 은행대출이 8조7천억원으로 증가액의 90% 가까이 차지했다. 비은행예금취급기관 대출 증가액은 1조4천억원으로, 작년 4월(2조2천억원)보다 적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4월 한 달간 6조원이 늘어 전체 가계대출 증가세를 이끌었다.
특히 서울은 작년 4월 가계대출 잔액의 증감이 없었지만 올해 4월에는 3조4천억원이나 늘었다.
가계대출은 금융회사들이 가계에 빌려준 자금의 규모다.
여기에 결제 전 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 보험사·대부업체·공적 금융기관 등의 대출까지 합친 가계신용은 지난 3월 말 현재 1천99조3천억원이었다.
이에 따라 가계신용은 현재 1천100조원을 넘어섰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은행 신병곤 금융통계팀장은 "주택경기 활성화로 4월 주택거래량이 늘면서주택담보대출이 전체 가계대출 증가를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전세난에 지친 주택 실수요자가 은행 돈을 빌려 집을 사면서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대출이 크게 늘었다는 얘기다.
지난 3월 한은이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치인 연 1.75%로 내린 데 이어 안심전환대출(연 2.63%) 출시 여파로 4월 들어 시중은행 가계대출 금리가 연 2%대로 내려앉은 것도 대출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가계부채 문제에 대한 우려가 끊이지 않고 있지만 가계대출 증가속도는 점점 빨라지고 있다.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증가액은 작년 1분기 3조4천억원에서 2분기 14조7천억원, 3분기 17조7천억원, 4분기 22조9천억원으로 증가 폭이 커졌다.
올해 1분기는 비수기라는 계절적 요인이 작용해 증가액이 9조3천억원으로 줄었지만, 1분기만 놓고 봤을 때는 역대 최고 증가액을 기록했다.
정부는 가계부채 증가속도에 대해 "다소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증가속도가 빠르지만 금융체계 전반을 위협할 정도는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나 과도한 가계부채가 우리 경제의 활력을 억누르고 최악의 경우 경제 전반의 위기로 퍼져 나갈 잠재적 위험성을 가졌다는 데에는 이견이 없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달 금통위 직후 기자회견에서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한 가계대출 증가세가 쉽게 꺾일 것 같지 않아 보인다"며 "감독 당국 및 기획재정부와 함께 가계부채 해결을 위해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pan@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