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회의 종료후 배포한 보도자료 내용을 추가합니다.>>"美 금리인상 내년으로 넘어갈지 불확실…中 경착륙 가능성 낮아"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8일 미국의 금리인상움직임과 중국 경제둔화 등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을 지적하면서 구조개혁을 통해 잠재성장률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한은 본관에서 열린 경제분야 전문가들과의 경제동향간담회에서 "앞으로 세계 경제의 키워드는 불확실성"이라며 미국의 금리인상 움직임과중국의 경제성장 둔화 등 이른바 'G2 리스크'를 대표적인 불확실성으로 꼽았다.
이 총재는 "이는 미국이 통화정책을 정상화하는 과정, 중국은 성장모델을 전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가피한 현상이고 구조적인 흐름이기 때문에 여기에 대해서 철저히 준비하는 게 필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27일(현지시간) 시작한 미국 통화정책 결정기구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10월 정례회의를 주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얼마 전까지만 해도 확실해 보이던 연내 미국 금리 인상이 경제지표가 엇갈리면서 12월이 될지, 내년으로 넘어갈지 무척 불확실한 상황"이라며 회의 결과를주의 깊게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미국이 금리를 인상해도 우리 경제에 미칠 부정적 영향이 크지 않을것임을 시사했다.
그는 지난주 한은이 주최한 국제컨퍼런스에 참석한 몇몇 해외인사들이 미국 금리 인상이 우리 경제에 미칠 파급 효과에 대해서 그렇게 크게 우려하지 않아도 될것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었다고 소개했다.
해외 전문가들은 한국의 경상수지 흑자, 상당한 외화보유액 등 외환 건전성과기초경제 여건이 양호한 점을 근거로 다른 신흥국과 다를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는것이다.
이 총재는 "그렇지만 우리 정책 당국은 여러 가능성을 열어두면서 긴장감을 갖고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 경제가 둔화되고 있지만 중국 정부가 일정 수준의 성장을 유지하기위해 적극 노력하는 점에 비춰보면 일부에서 우려하듯이 경착륙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한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구조개혁을 통해 잠재성장률을 높이고 미래성장 산업을 발굴해 가는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가 아닐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 참석자들은 중국 경제의 성장전략 전환과 수입구조 변화가 상당기간한국의 대중국 수출에 대한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기업들의 대중국 수출 구조전환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고 한국은행이 전했다.
또 미국 금리인상이 금융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부실기업정리 등을 통해 금융시장의 건전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참석자들은 경제 불확실성이 클수록 단기 성장률보다 중장기적인 성장 잠재력확충을 위한 정책 마련에 논의를 집중해야 한다면서 내수회복 지속을 위해 규제완화로 기업활동을 촉진하고 서비스업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noja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8일 미국의 금리인상움직임과 중국 경제둔화 등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을 지적하면서 구조개혁을 통해 잠재성장률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한은 본관에서 열린 경제분야 전문가들과의 경제동향간담회에서 "앞으로 세계 경제의 키워드는 불확실성"이라며 미국의 금리인상 움직임과중국의 경제성장 둔화 등 이른바 'G2 리스크'를 대표적인 불확실성으로 꼽았다.
이 총재는 "이는 미국이 통화정책을 정상화하는 과정, 중국은 성장모델을 전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가피한 현상이고 구조적인 흐름이기 때문에 여기에 대해서 철저히 준비하는 게 필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27일(현지시간) 시작한 미국 통화정책 결정기구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10월 정례회의를 주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얼마 전까지만 해도 확실해 보이던 연내 미국 금리 인상이 경제지표가 엇갈리면서 12월이 될지, 내년으로 넘어갈지 무척 불확실한 상황"이라며 회의 결과를주의 깊게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미국이 금리를 인상해도 우리 경제에 미칠 부정적 영향이 크지 않을것임을 시사했다.
그는 지난주 한은이 주최한 국제컨퍼런스에 참석한 몇몇 해외인사들이 미국 금리 인상이 우리 경제에 미칠 파급 효과에 대해서 그렇게 크게 우려하지 않아도 될것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었다고 소개했다.
해외 전문가들은 한국의 경상수지 흑자, 상당한 외화보유액 등 외환 건전성과기초경제 여건이 양호한 점을 근거로 다른 신흥국과 다를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는것이다.
이 총재는 "그렇지만 우리 정책 당국은 여러 가능성을 열어두면서 긴장감을 갖고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 경제가 둔화되고 있지만 중국 정부가 일정 수준의 성장을 유지하기위해 적극 노력하는 점에 비춰보면 일부에서 우려하듯이 경착륙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한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구조개혁을 통해 잠재성장률을 높이고 미래성장 산업을 발굴해 가는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가 아닐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 참석자들은 중국 경제의 성장전략 전환과 수입구조 변화가 상당기간한국의 대중국 수출에 대한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기업들의 대중국 수출 구조전환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고 한국은행이 전했다.
또 미국 금리인상이 금융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부실기업정리 등을 통해 금융시장의 건전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참석자들은 경제 불확실성이 클수록 단기 성장률보다 중장기적인 성장 잠재력확충을 위한 정책 마련에 논의를 집중해야 한다면서 내수회복 지속을 위해 규제완화로 기업활동을 촉진하고 서비스업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noja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