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연체율 금융위기 후 최저…대기업 연체율은 최고꼬박꼬박 이자 잘 낸 가계 덕에 이자이익 부문서 '선방'
작년 가계 대출이 사상 최대 규모로 폭증했으나 주요 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은행들이 기업 리스크 관리에 실패하면서 대기업 연체율은 금융위기 후최고 수준으로 올라갔다.
이 여파로 대손충당금 전입액이 많은 곳은 전년보다 200% 넘게 급증했다.
22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KEB하나·농협 등 5대 은행의 작년가계대출 연체율은 0.19~0.49% 수준이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이후 최저 수준이다.
국민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0.35%를 기록, 2008년 이후 처음으로 0.3%대로떨어졌다.
신한은행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인 0.19%, KEB하나은행 역시 같은 기간최저 수준인 0.26%를 찍었다.
우리은행[000030](0.39%)과 농협은행(0.49%)은 다른 은행들에 비해선 높은 편이지만 자체 기준으로는 2008년 이래 최저다.
은행들의 가계 연체율이 떨어진 것은 금리 인하 덕택이 크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저금리 기조가 계속 유지되다 보니 가계 입장에선 이자 부담이 줄어 빚을 성실히 갚아나간 게 연체율 하락의 가장 큰 원인"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5대 은행의 분할상환식 10년 만기 이상 주택담보대출 평균금리는 2014년12월 연 3.27~3.51% 수준에서 작년 말 연 3.05~3.26% 수준으로 떨어졌다.
대출이자 하락과 주택시장 활황에 힘입어 이들 은행의 가계대출은 2014년 423조1천683억원에서 작년 462조9천937억원으로 약 40조원(9.41%) 증가했다.
은행에서 대출을 많이 받고, 꼬박꼬박 이자까지 잘 낸 영향으로 5대 은행들은핵심 이익원인 순이자마진(NIM) 하락(은행권 0.21%포인트↓)에도 불구하고 이자이익분야에선 선방했다.
5대 주요 은행이 작년에 거둔 이자이익은 21조9천322억원으로 전년보다 1.4% 주는 데 그쳤다.
당기순이익은 4조8천292억원으로 전년 대비 8.47% 감소했다.
가계 대출 연체율이 줄었지만 기업 대출 연체율은 5대 은행 대부분에서 금융위기 후 최대 폭으로 올라 전체 수익에 악영향을 미쳤다.
농협은행의 작년 대기업 연체율은 2014년 대비 1.06%, 신한은행은 0.55%포인트높아져 금융위기 후 최대 폭으로 증가했다.
2013년보다 0.83%포인트 급락하며 2014년 0.76%까지 떨어졌던 우리은행의 대기업 연체율도 1년 만에 0.28%포인트 반등, 다시 1%대로 올라섰다.
대기업을 포함한 KEB하나은행의 기업 대출 연체율도 전년보다 0.27%포인트 높아졌다.
이 증가폭은 2008년 이후 최대다.
기업 부실 여신으로 5대 은행의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눈에 띄게 늘었다.
2014년 3조4천553억원에서 지난해 3조6천688억원으로 6.18% 증가했다.
경남기업과 포스코플랜텍 등에 대한 부실 여신으로 신한은행의 전입액은 전년대비 29.7% 늘었다.
STX조선에 발목을 잡힌 농협은행은 무려 214.3% 폭증했다.
조남희 금융소비자원 대표는 "은행들이 가계에서 얻은 이익으로 기업대출로 본손해를 만회한 셈"이라며 "가계가 은행의 손실을 부담하고 있다는 점에서 대출금리의 적절성 논란이 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buff27@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작년 가계 대출이 사상 최대 규모로 폭증했으나 주요 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은행들이 기업 리스크 관리에 실패하면서 대기업 연체율은 금융위기 후최고 수준으로 올라갔다.
이 여파로 대손충당금 전입액이 많은 곳은 전년보다 200% 넘게 급증했다.
22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KEB하나·농협 등 5대 은행의 작년가계대출 연체율은 0.19~0.49% 수준이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이후 최저 수준이다.
국민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0.35%를 기록, 2008년 이후 처음으로 0.3%대로떨어졌다.
신한은행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인 0.19%, KEB하나은행 역시 같은 기간최저 수준인 0.26%를 찍었다.
우리은행[000030](0.39%)과 농협은행(0.49%)은 다른 은행들에 비해선 높은 편이지만 자체 기준으로는 2008년 이래 최저다.
은행들의 가계 연체율이 떨어진 것은 금리 인하 덕택이 크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저금리 기조가 계속 유지되다 보니 가계 입장에선 이자 부담이 줄어 빚을 성실히 갚아나간 게 연체율 하락의 가장 큰 원인"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5대 은행의 분할상환식 10년 만기 이상 주택담보대출 평균금리는 2014년12월 연 3.27~3.51% 수준에서 작년 말 연 3.05~3.26% 수준으로 떨어졌다.
대출이자 하락과 주택시장 활황에 힘입어 이들 은행의 가계대출은 2014년 423조1천683억원에서 작년 462조9천937억원으로 약 40조원(9.41%) 증가했다.
은행에서 대출을 많이 받고, 꼬박꼬박 이자까지 잘 낸 영향으로 5대 은행들은핵심 이익원인 순이자마진(NIM) 하락(은행권 0.21%포인트↓)에도 불구하고 이자이익분야에선 선방했다.
5대 주요 은행이 작년에 거둔 이자이익은 21조9천322억원으로 전년보다 1.4% 주는 데 그쳤다.
당기순이익은 4조8천292억원으로 전년 대비 8.47% 감소했다.
가계 대출 연체율이 줄었지만 기업 대출 연체율은 5대 은행 대부분에서 금융위기 후 최대 폭으로 올라 전체 수익에 악영향을 미쳤다.
농협은행의 작년 대기업 연체율은 2014년 대비 1.06%, 신한은행은 0.55%포인트높아져 금융위기 후 최대 폭으로 증가했다.
2013년보다 0.83%포인트 급락하며 2014년 0.76%까지 떨어졌던 우리은행의 대기업 연체율도 1년 만에 0.28%포인트 반등, 다시 1%대로 올라섰다.
대기업을 포함한 KEB하나은행의 기업 대출 연체율도 전년보다 0.27%포인트 높아졌다.
이 증가폭은 2008년 이후 최대다.
기업 부실 여신으로 5대 은행의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눈에 띄게 늘었다.
2014년 3조4천553억원에서 지난해 3조6천688억원으로 6.18% 증가했다.
경남기업과 포스코플랜텍 등에 대한 부실 여신으로 신한은행의 전입액은 전년대비 29.7% 늘었다.
STX조선에 발목을 잡힌 농협은행은 무려 214.3% 폭증했다.
조남희 금융소비자원 대표는 "은행들이 가계에서 얻은 이익으로 기업대출로 본손해를 만회한 셈"이라며 "가계가 은행의 손실을 부담하고 있다는 점에서 대출금리의 적절성 논란이 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buff27@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